점심 때 회사 동료가 순댓국을 제안한다. 잘 아는 집이 있는데 줄 설 각오를 해야 한다는 내 말에 동료가 ‘혐(嫌)핫’을 거론하며 평범한 순댓국집을 추천한다. 요즘 새 소비 현상으로 떠오른 혐핫은 널리 알려진 ‘핫’(hot)한 곳을 기피하는 소비 심리다. 괜찮다 싶으면 사람들이 몰려들어 만족감이 떨어진다는 이유다. 업소 중에도 핫해지기 싫으니 인테리어나 음식 사진을 찍지 말라고 하는 곳까지 생겨났다.
타인의 경험은 소비의 중요한 바로미터다. 대기 줄이 긴 식당 음식은 맛있어 보이고, 베스트셀러 순위에 오른 책은 재미있을 것 같다. 한 해 수십만 명이 방문하는 여행 명소엔 꼭 가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사람들이 버킷리스트에 담는 것들도 대개 남들이 열광하는 경험의 집합체다.
한데 남의 경험만 좇다 보면 결국 모방의 일상만 반복하기 쉽다. 남이 아무리 좋아해도 내가 만족하지 못하면 무슨 소용이 있을까. 혐핫은 전통적인 소비 기준을 거부한다. 소비혁명인 셈이다. 트렌드를 추종하고, 거기 끼지 못하면 초조해하는 현대인들에게 혐핫이 자기 찾기의 모멘텀이 되었으면 한다.
타인의 경험은 소비의 중요한 바로미터다. 대기 줄이 긴 식당 음식은 맛있어 보이고, 베스트셀러 순위에 오른 책은 재미있을 것 같다. 한 해 수십만 명이 방문하는 여행 명소엔 꼭 가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사람들이 버킷리스트에 담는 것들도 대개 남들이 열광하는 경험의 집합체다.
한데 남의 경험만 좇다 보면 결국 모방의 일상만 반복하기 쉽다. 남이 아무리 좋아해도 내가 만족하지 못하면 무슨 소용이 있을까. 혐핫은 전통적인 소비 기준을 거부한다. 소비혁명인 셈이다. 트렌드를 추종하고, 거기 끼지 못하면 초조해하는 현대인들에게 혐핫이 자기 찾기의 모멘텀이 되었으면 한다.
2018-02-10 2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