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의 참맛은 사람마다 제각각이다. 뭐니 뭐니 해도 칼바람이 제맛일 수 있다. 아닌 게 아니라 미지근한 체온으로 혹한을 건너는 것도 이 계절의 성취가 아닌가 새삼 생각한다.
내게 이즈음의 묘미는 따로 있다. 푸성귀들 한가운데서 진을 치는 섬초, 세발나물을 푸지게 집어드는 일이다. 욕심껏 눌러 담아서는 등 뒤에 따라붙는 한뎃바람을 잽싸게 따돌리고 집 안에 들어서는 순간, 회심의 미소마저 짓는다. 바닷가 언 땅에 엎드려 가장 달게 겨울을 이기는 계절의 주인공들. 천원짜리 두어 장에 개선장군들이 내 차지가 되니 득의에 차는 것이다.
해풍에 덤비지 않고 그저 품어 버려서 섬초는 구석구석 단물이다. 갯바람에 맞서지 않고 차라리 삼켜 버려서 세발나물은 마디마디 흥건한 갯내음이다. 섬초 붉은 뿌리에는 어째서 속속들이 겨울 볕은 깊은지. 세발나물은 갯가의 앉은뱅이인데 어떻게 해삼, 멍게 냄새까지 온몸으로 다 기억하는지.
묵묵해서 더 크게 귀를 밝히는 밥상 위의 선생들. 데쳐도 삶아도 기죽지 않는 딴딴한 맛. 시치미 뚝 떼고 이 겨울이 누구 것이냐고 묻는, 겨울의 맛.
sjh@seoul.co.kr
내게 이즈음의 묘미는 따로 있다. 푸성귀들 한가운데서 진을 치는 섬초, 세발나물을 푸지게 집어드는 일이다. 욕심껏 눌러 담아서는 등 뒤에 따라붙는 한뎃바람을 잽싸게 따돌리고 집 안에 들어서는 순간, 회심의 미소마저 짓는다. 바닷가 언 땅에 엎드려 가장 달게 겨울을 이기는 계절의 주인공들. 천원짜리 두어 장에 개선장군들이 내 차지가 되니 득의에 차는 것이다.
해풍에 덤비지 않고 그저 품어 버려서 섬초는 구석구석 단물이다. 갯바람에 맞서지 않고 차라리 삼켜 버려서 세발나물은 마디마디 흥건한 갯내음이다. 섬초 붉은 뿌리에는 어째서 속속들이 겨울 볕은 깊은지. 세발나물은 갯가의 앉은뱅이인데 어떻게 해삼, 멍게 냄새까지 온몸으로 다 기억하는지.
묵묵해서 더 크게 귀를 밝히는 밥상 위의 선생들. 데쳐도 삶아도 기죽지 않는 딴딴한 맛. 시치미 뚝 떼고 이 겨울이 누구 것이냐고 묻는, 겨울의 맛.
sjh@seoul.co.kr
2018-01-18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