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로만 듣던 인공지능(AI) 스피커가 우리 집 거실 한 자리를 차지했다. 얼리어답터여서가 아니라 IPTV 통신사 직원의 ‘영업’에 넘어가서다. TV를 켜고 끄거나 음량 조절, 채널 이동 등 리모컨 역할은 기본이고 날씨 정보도 척척 알려 주니 신기하고 기특했다. 하지만 호기심은 곧 사그라졌다. 간단한 요청 말고는 말귀를 못 알아듣는 경우가 잦았다. 식구들 대화에 느닷없이 끼어드는가 하면 TV 속 대화를 명령어로 잘못 인식해 저절로 작동하는 웃지 못할 일도 벌어졌다.
몇 년 전 스마트폰 음성인식 기능이 처음 나왔을 때도 비슷한 경험을 했다. 어쩌면 이렇게 똑똑하고, 재치 있는 대답을 할까 놀라기도 했지만 엉뚱한 답변에 실소하거나 배꼽을 잡은 적도 많았다. 달리 생각하면 아무리 AI라고 해도 기계가 사람 말귀를 다 알아듣는 게 썩 유쾌하지 않을 것도 같다.
정작 문제는 사람이 사람 말귀를 못 알아들을 때다. 정말로 못 알아듣기도 하지만 못 알아듣는 척하기도 한다. 제 말만 하고, 남 말은 안 듣는 사오정보다는 차라리 AI 스피커와 대화하는 게 나을지도 모르겠다.
이순녀 논설위원 coral@seoul.co.kr
몇 년 전 스마트폰 음성인식 기능이 처음 나왔을 때도 비슷한 경험을 했다. 어쩌면 이렇게 똑똑하고, 재치 있는 대답을 할까 놀라기도 했지만 엉뚱한 답변에 실소하거나 배꼽을 잡은 적도 많았다. 달리 생각하면 아무리 AI라고 해도 기계가 사람 말귀를 다 알아듣는 게 썩 유쾌하지 않을 것도 같다.
정작 문제는 사람이 사람 말귀를 못 알아들을 때다. 정말로 못 알아듣기도 하지만 못 알아듣는 척하기도 한다. 제 말만 하고, 남 말은 안 듣는 사오정보다는 차라리 AI 스피커와 대화하는 게 나을지도 모르겠다.
이순녀 논설위원 coral@seoul.co.kr
2018-01-08 2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