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초순만 해도 충청북도 지역은 극심한 가뭄으로 고통받았다. 그런데 이후 기록적인 폭우가, 그것도 며칠 전까지 퍼부었으니 무슨 조화인지 모르겠다. 개인적으로 충북에 선산과 시골집이 있으니 남의 일이 아니다. 그런데 주민 생활, 나아가 생계 터전의 극심한 피해에 가려 주목받지 못한 뉴스가 있었다. 진천 농다리의 일부가 유실되는 피해를 입었다는 소식이었다.
농다리는 고려시대 지어진 것으로 알려진 돌다리다. 길이 93.6m, 너비 3.6m에 이르니 상당한 크기다. 지네 모양이라고도 하지만, 농다리라는 이름은 용다리가 변형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막돌에 가깝게 거친 돌로 웬만한 큰비에는 끄떡 않는 다리를 놓았다.
한적한 시골에 정교하기 그지없는 다리를 지을 필요는 없었다. 농다리도 수십 년에 한 번 찾아오는 홍수에는 돌 몇 개쯤 떠내려가기도 한다. 그러면 주민들이 힘을 합쳐 복구하기를 거듭해 왔다. 그게 오히려 농다리의 미덕이다. 이제부터라도 떠내려간 돌을 새로운 돌로 채울 때는 사연과 날짜를 새기면 어떨까 싶다. 훗날 다리의 역사를 알려 주는 중요한 기록이 될 것이다.
농다리는 고려시대 지어진 것으로 알려진 돌다리다. 길이 93.6m, 너비 3.6m에 이르니 상당한 크기다. 지네 모양이라고도 하지만, 농다리라는 이름은 용다리가 변형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막돌에 가깝게 거친 돌로 웬만한 큰비에는 끄떡 않는 다리를 놓았다.
한적한 시골에 정교하기 그지없는 다리를 지을 필요는 없었다. 농다리도 수십 년에 한 번 찾아오는 홍수에는 돌 몇 개쯤 떠내려가기도 한다. 그러면 주민들이 힘을 합쳐 복구하기를 거듭해 왔다. 그게 오히려 농다리의 미덕이다. 이제부터라도 떠내려간 돌을 새로운 돌로 채울 때는 사연과 날짜를 새기면 어떨까 싶다. 훗날 다리의 역사를 알려 주는 중요한 기록이 될 것이다.
2017-08-04 2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