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호기심 죽이기/오일만 논설위원

[길섶에서] 호기심 죽이기/오일만 논설위원

오일만 기자
오일만 기자
입력 2017-07-13 22:42
수정 2017-07-13 22: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아인슈타인은 천재가 아니다. 다만 호기심이 많았을 뿐이다. 본인이 털어놓은 말이다. 어릴 때부터 남들이 무심히 지나친 밤하늘을 보며 왜 우주가 생겼는지, 왜 별이 빛나는지를 밤새 고민했다고 한다. 암기를 강요하는 당시 학교 분위기는 그의 호기심을 짓눌렀고 급기야 신경쇠약에 걸린다. 엉뚱한 질문 때문에 저능아 취급을 받았던 에디슨과 비슷한 사례다.

호기심과 질문, 그리고 창의와 혁신은 동전의 양면이다. 호기심은 질문으로 표출되고 이런 과정 속에서 번득이는 아이디어가 나온다. 혁신과 창의를 강조하면서 정작 그 뿌리인 호기심을 철저하게 말살하는 것이 우리네 교육 풍토다. 수업 시간에 간혹 이상한 질문이 나오면 공부 분위기 망친다고 핀잔을 받기 일쑤다. ‘그런 질문할 시간이 있으면 영어 단어 하나 더 외우라’는 다그침과 함께.

새로움에 대한 호기심(네오필리아·neophilia)은 인류를 성공으로 이끈 위대한 본능이다. 뜻도 모르고 달달 외우는 암기식 교육은 왕성한 창조 에너지를 고갈시킨다. 호기심을 더 큰 호기심으로 키우는 교육이 절실하다.
2017-07-14 31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