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틀째 비가 내린다. 목마른 대지를 차근차근 적신다. 감질난다는 느낌이지만 오랜 가뭄 중이라 더없이 반갑다. 꼭 필요한 때에 맞춰 내려 주는 그야말로 ‘단비’다. 비용 들이는 일도 아닌데, 이왕이면 시원하게 좍좍 좀 내렸으면 좋았으련만. 약간은 아쉬운 마음에 허공에다 눈을 흘긴다.
이맘때의 비는 예부터 풍요의 상징으로 여겼다. 논밭의 곡식을 비롯해 꽃과 나무들이 한창 자라야 할 때이니 당연하다. 빗줄기가 활기차게 땅을 적시고 농부의 땀방울까지 말끔히 씻어 준다면 금상첨화다. 가을의 풍요로움을 약속할 수 있는 단비가 아닌가.
다른 자연현상과 마찬가지로 비도 인간의 심성에 자주 비유된다. 김남조 시인은 ‘비는 뿌린 후에 스스로 거두지 않음이니/ 나도 빗물 같은 정을 주고 달라진 않으리라?’며 빗물을 인간의 정(情)에 비유했다.
정치니 사회생활이니 하는 이름으로 행해지는 온갖 배신과 시기, 질투 속에서 살아간다. 시인의 마음이나 곡식에 내리는 단비처럼 그저 뿌려 주기만 한다면 정이 넘치는 삶이 되지 않을까. 단비 같은 사람이 되고 싶은데, 글쎄….
이동구 논설위원
이맘때의 비는 예부터 풍요의 상징으로 여겼다. 논밭의 곡식을 비롯해 꽃과 나무들이 한창 자라야 할 때이니 당연하다. 빗줄기가 활기차게 땅을 적시고 농부의 땀방울까지 말끔히 씻어 준다면 금상첨화다. 가을의 풍요로움을 약속할 수 있는 단비가 아닌가.
다른 자연현상과 마찬가지로 비도 인간의 심성에 자주 비유된다. 김남조 시인은 ‘비는 뿌린 후에 스스로 거두지 않음이니/ 나도 빗물 같은 정을 주고 달라진 않으리라?’며 빗물을 인간의 정(情)에 비유했다.
정치니 사회생활이니 하는 이름으로 행해지는 온갖 배신과 시기, 질투 속에서 살아간다. 시인의 마음이나 곡식에 내리는 단비처럼 그저 뿌려 주기만 한다면 정이 넘치는 삶이 되지 않을까. 단비 같은 사람이 되고 싶은데, 글쎄….
이동구 논설위원
2017-06-08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