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 깨면 병아리, 남이 깨면 프라이’. 어느 고3 교실의 급훈(級訓)이란다. 무릎을 탁 치게 한다. 촌철살인이다. 초?중학교 시절 교실 칠판 위에 걸렸던 급훈은 으레 그 자리에 있는, 백지에 검은 정체(正體)를 담은 ‘빛바랜 액자’일 뿐이었다. 해가 바뀌어 새 학생과 선생님이 들어와도 변함이 없었다. 아무리 애써 봐도 내용이 기억나지 않는다. 아마 ‘최선을 다하자’거나 ‘하면 된다’는 것쯤이 아니었을까.
요즘엔 ‘오늘 흘린 침은 내일 흘릴 눈물’이라거나 ‘창밖의 선생님 지켜본다’, ‘엄마도 계모임에서 말 좀 해보자’와 같은 급훈은 철 지난 축에 든다고 한다. 그 자리를 ‘눈 떠’라거나 ‘미(美)쳐보자’, ‘쟤 깨워라’와 같은 임팩트 넘치는 급훈이 대신하는 모양이다. ‘칠판 보기를 공유 보듯’,‘교과서는 여자친구’?. 학생들과 선생님이 머리를 맞대고 정해서인지 내용이 톡톡 튄다.
‘더이상 미룰 수 없다. 너의 대학 나의 결혼’. 어느 노총각 선생님이 제자들의 대입 성공과 자신의 결혼을 함께 기원하며 만든 급훈이란다. 그 선생님과 학생들의 꿈이 올해에는 꼭 이뤄지길! 전국의 모든 고3들의 소망도 함께.
박건승 논설위원
요즘엔 ‘오늘 흘린 침은 내일 흘릴 눈물’이라거나 ‘창밖의 선생님 지켜본다’, ‘엄마도 계모임에서 말 좀 해보자’와 같은 급훈은 철 지난 축에 든다고 한다. 그 자리를 ‘눈 떠’라거나 ‘미(美)쳐보자’, ‘쟤 깨워라’와 같은 임팩트 넘치는 급훈이 대신하는 모양이다. ‘칠판 보기를 공유 보듯’,‘교과서는 여자친구’?. 학생들과 선생님이 머리를 맞대고 정해서인지 내용이 톡톡 튄다.
‘더이상 미룰 수 없다. 너의 대학 나의 결혼’. 어느 노총각 선생님이 제자들의 대입 성공과 자신의 결혼을 함께 기원하며 만든 급훈이란다. 그 선생님과 학생들의 꿈이 올해에는 꼭 이뤄지길! 전국의 모든 고3들의 소망도 함께.
박건승 논설위원
2017-05-01 2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