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지기 교수가 대학원 캠퍼스 커플 제자의 청첩장을 보고선 한참을 웃었단다. 형식과 내용이 학위 논문과 무척 흡사했다. ‘논문 제목: 늦은 결혼이 우리 두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지속 가능한 행복 요인을 중심으로’ 그는 혼자 보기 아까워 SNS에 올렸다. 자신의 지도로 박사 학위를 받은 지 5년이 넘은 제자라니 혼기를 놓친 게 분명하다.
속지의 ‘국문 초록’ 왈. ‘결혼은 인생의 무덤이라고 정의한다. 어차피 놓친 혼기, 차라리 혼자 사는 게 편하다는 논리다. 그러나 최근 연구들은 통념에 상반되는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즉 혼기를 훌쩍 넘긴 사람에게 누군가 같이 있다는 것, 속내를 털어놓을 수 있는 사람이 생겼다는 건 개인의 행복과 삶의 질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는 점. 문제는 새 가설이 검증되지 않아 많은 남녀가 쓸쓸히 늙고 있으며 … 이에 늦은 결혼과 개인 인생 구제의 상관관계를 실증적으로 연구하고자….’ 그 기발함이 유쾌하다. 논문 결론이 부디 ‘지속 가능한 행복’으로 도출됐으면 한다. 내년엔 신혼의 질적 연구 결과(2세)도 내놓으시길.
박건승 논설위원 ksp@seoul.co.kr
속지의 ‘국문 초록’ 왈. ‘결혼은 인생의 무덤이라고 정의한다. 어차피 놓친 혼기, 차라리 혼자 사는 게 편하다는 논리다. 그러나 최근 연구들은 통념에 상반되는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즉 혼기를 훌쩍 넘긴 사람에게 누군가 같이 있다는 것, 속내를 털어놓을 수 있는 사람이 생겼다는 건 개인의 행복과 삶의 질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는 점. 문제는 새 가설이 검증되지 않아 많은 남녀가 쓸쓸히 늙고 있으며 … 이에 늦은 결혼과 개인 인생 구제의 상관관계를 실증적으로 연구하고자….’ 그 기발함이 유쾌하다. 논문 결론이 부디 ‘지속 가능한 행복’으로 도출됐으면 한다. 내년엔 신혼의 질적 연구 결과(2세)도 내놓으시길.
박건승 논설위원 ksp@seoul.co.kr
2017-03-08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