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 햇살을 핥고 있는 정원의 매화는 아직 춥다. 김포반도를 지나 한강과 임진강의 두물머리를 거쳐 불어오는 북서풍은 한기(寒氣)를 품었다. 남도에서는 벌써 꽃망울을 터뜨렸다지만, 파주 땅엔 우수가 지났어도 개화의 기별은 없다.
매화의 가지를 당겨 꽃눈과 눈을 맞춘다. 심사정의 ‘파교심매도’(?橋尋梅圖)가 생각난다. 당나라 시인 맹호연은 눈발이 분분한 가운데 나귀를 타고 파교를 건너 눈 쌓인 골짜기로 매화를 찾아 나선다. 혹독한 겨울을 견디고 가장 먼저 봄을 알리는 설중매는 선비의 고결한 기품이 배어 있다.
인고의 세월 속에서 절개를 지키며 암향(暗香)으로 우아한 자태를 알리는 매화는 여인에게도 어울린다. 예능에 뛰어난 기생들의 이름에도 매(梅) 자가 많다, 매화, 매홍, 매창, 홍매는 우리 문화사에 많은 족적을 남겼다.
연꽃이 불교, 장미와 백합이 기독교의 꽃이라면, 매화는 유교의 꽃이다. 한국, 중국, 일본 문화의 유전자는 유·불·선 삼교가 일치하는 매화 문화권으로 만난다고 이어령 선생은 말한다. 동북아의 평화가 매화 향기처럼 온 누리에 퍼져 나갔으면 좋으련만.
이경형 주필 khlee@seoul.co.kr
매화의 가지를 당겨 꽃눈과 눈을 맞춘다. 심사정의 ‘파교심매도’(?橋尋梅圖)가 생각난다. 당나라 시인 맹호연은 눈발이 분분한 가운데 나귀를 타고 파교를 건너 눈 쌓인 골짜기로 매화를 찾아 나선다. 혹독한 겨울을 견디고 가장 먼저 봄을 알리는 설중매는 선비의 고결한 기품이 배어 있다.
인고의 세월 속에서 절개를 지키며 암향(暗香)으로 우아한 자태를 알리는 매화는 여인에게도 어울린다. 예능에 뛰어난 기생들의 이름에도 매(梅) 자가 많다, 매화, 매홍, 매창, 홍매는 우리 문화사에 많은 족적을 남겼다.
연꽃이 불교, 장미와 백합이 기독교의 꽃이라면, 매화는 유교의 꽃이다. 한국, 중국, 일본 문화의 유전자는 유·불·선 삼교가 일치하는 매화 문화권으로 만난다고 이어령 선생은 말한다. 동북아의 평화가 매화 향기처럼 온 누리에 퍼져 나갔으면 좋으련만.
이경형 주필 khlee@seoul.co.kr
2017-02-21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