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오쩌둥과 장제스는 중국 대륙을 놓고 격돌한 인물이다. 군인 출신의 장은 격정적이고 직선적인 성격의 소유자고 교사 출신의 마오는 낙관적이지만 치밀한 전략가로 유명하다. 정반대 기질의 두 사람은 사사건건 철천지원수처럼 으르릉거렸지만 단 하나 일치점이 있었다. 바로 인재 양성이다.
항일전쟁(1931~1945년) 시기 380여만명의 군인들이 죽거나 다쳤고 병력이 모자라 늘 고민했지만 이들은 경쟁적으로 우수한 청년들을 해외로 유학을 보냈다. 미래를 짊어질 인재들의 목숨을 보전하고 전쟁 이후 중국의 재건을 대비한 조처였다. 개혁 개방의 설계자 덩샤오핑도 참혹한 문화대혁명이 끝나자마자 많은 청년 인재들을 선진국으로 보내 과학 기술을 배우게 했다. 이들은 10년, 20년 뒤에 돌아와 중국을 재건했다. 죽의 장막에 갇혔던 중국이 유인 우주선을 쏠 정도로 발전하고 단시간 내에 경제대국으로 성장한 비결도 여기에 있다. 5년마다 돌아오는 대선. 목전의 표심을 유혹하려는 사탕발림들이 또 난무한다. 단기 실적에 급급하다 보니 제대로 된 정책이 나오기도 어렵다. 국가의 미래를 보다 멀리 내다보는 안목이 절실하다.
오일만 논설위원 oilman@seoul.co.kr
항일전쟁(1931~1945년) 시기 380여만명의 군인들이 죽거나 다쳤고 병력이 모자라 늘 고민했지만 이들은 경쟁적으로 우수한 청년들을 해외로 유학을 보냈다. 미래를 짊어질 인재들의 목숨을 보전하고 전쟁 이후 중국의 재건을 대비한 조처였다. 개혁 개방의 설계자 덩샤오핑도 참혹한 문화대혁명이 끝나자마자 많은 청년 인재들을 선진국으로 보내 과학 기술을 배우게 했다. 이들은 10년, 20년 뒤에 돌아와 중국을 재건했다. 죽의 장막에 갇혔던 중국이 유인 우주선을 쏠 정도로 발전하고 단시간 내에 경제대국으로 성장한 비결도 여기에 있다. 5년마다 돌아오는 대선. 목전의 표심을 유혹하려는 사탕발림들이 또 난무한다. 단기 실적에 급급하다 보니 제대로 된 정책이 나오기도 어렵다. 국가의 미래를 보다 멀리 내다보는 안목이 절실하다.
오일만 논설위원 oilman@seoul.co.kr
2017-01-17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