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조계사에는 신도들을 위한 공양간인 만발식당이 있다. 절을 찾은 대중에게 차별 없는 마음을 담아 베푸는 한 끼 식사를 뜻하는 만발공양(萬鉢供養)에서 비롯됐을 것이다. 바리때에 수북이 밥을 담은 만발(滿鉢)이자 많은 이와 나누는 만발(萬鉢)이기도 하다.
그런데 조계사 공양간은 모든 사람에게 열려 있지는 않다. 만발식당을 이용하려면 이 절 신도로 ‘공양카드’가 있어야 하는 것은 물론 밥값으로 2000원을 내야 한다. 이 시대 서울 한복판 인심으로는 감지덕지해야 하나.
봄·가을에는 지역 어르신을 초대해 한 끼 식사를 나누는 만발공양 행사가 전국 여기저기 사찰에서 열린다. 이런 자리는 되도록 많은 어르신을 모시고 맛있는 음식을 푸짐하게 차려 즐거운 하루를 만들어 드리는 게 미덕이다.
팔공산 선본사의 만발공양은 인상적이었다. 소원을 들어준다 하여 입시철이 다가오면 더욱 붐비는 갓바위 부처가 있는 곳이다. 절을 찾는 사람 모두에게 차별 없고 대가 없이 제공하니 만발공양의 정신이 살아 있다. 밥과 시래깃국, 짠지가 전부지만 힘들게 산에 오르니 꿀맛이다. 이렇게 멋있는 음식 문화는 사라지지 않았으면 좋겠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그런데 조계사 공양간은 모든 사람에게 열려 있지는 않다. 만발식당을 이용하려면 이 절 신도로 ‘공양카드’가 있어야 하는 것은 물론 밥값으로 2000원을 내야 한다. 이 시대 서울 한복판 인심으로는 감지덕지해야 하나.
봄·가을에는 지역 어르신을 초대해 한 끼 식사를 나누는 만발공양 행사가 전국 여기저기 사찰에서 열린다. 이런 자리는 되도록 많은 어르신을 모시고 맛있는 음식을 푸짐하게 차려 즐거운 하루를 만들어 드리는 게 미덕이다.
팔공산 선본사의 만발공양은 인상적이었다. 소원을 들어준다 하여 입시철이 다가오면 더욱 붐비는 갓바위 부처가 있는 곳이다. 절을 찾는 사람 모두에게 차별 없고 대가 없이 제공하니 만발공양의 정신이 살아 있다. 밥과 시래깃국, 짠지가 전부지만 힘들게 산에 오르니 꿀맛이다. 이렇게 멋있는 음식 문화는 사라지지 않았으면 좋겠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7-01-14 2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