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 산은 더 멀어지고 삭풍은 일찍이도 찾아왔다. 영그는 계절도 끝나 가는데 난 왜 빈손인가. 열정도 지식도 가뭄처럼 건조하다. 그래도 허전한 마음이 덜한 건 순전히 가을꽃 덕이다.
한동안 국화로 잘못 알았던 꽃이 구절초(九節草)다. 국화과이니 국화의 사촌쯤 된다. 들판엔 눈이 흩뿌린 듯 구절초가 지천이다. 국화가 귀족적이라면 구절초는 서민적이다. 그래서 이름도 꽃이 아니고 풀인가. 아홉 번 꺾이고도 꿋꿋이 자란다는 뜻일까.
국화 말고도 구절초와 비슷한 들꽃이 또 있다. 쑥부쟁이, 개미취다. ‘쑥부쟁이와 구절초를/구별하지 못하는 너하고/이 들길을 여태 걸어왔다니/나여, 나는 지금부터 너하고 절교다’ 안도현 시인은 ‘무식한 놈’이라는 제목의 이런 시를 썼다. 시 속에 담긴 더 깊은 뜻이야 알기 어렵지만 우리는 비슷한 듯 다른 것들을 무심코 넘긴다.
아는 게 자랑이 아니듯 모르는 게 부끄러움도 아니다. 그래도 사소한 차이에 우리는 너무 무감하다. 세상사에 지쳐 그럴까.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한가’인가. 작은 다름에 무심하면 큰 것에도 그렇다. 구절초는 구절초로 알아주기를 바랄 것이다.
손성진 논설실장 sonsj@seoul.co.kr
한동안 국화로 잘못 알았던 꽃이 구절초(九節草)다. 국화과이니 국화의 사촌쯤 된다. 들판엔 눈이 흩뿌린 듯 구절초가 지천이다. 국화가 귀족적이라면 구절초는 서민적이다. 그래서 이름도 꽃이 아니고 풀인가. 아홉 번 꺾이고도 꿋꿋이 자란다는 뜻일까.
국화 말고도 구절초와 비슷한 들꽃이 또 있다. 쑥부쟁이, 개미취다. ‘쑥부쟁이와 구절초를/구별하지 못하는 너하고/이 들길을 여태 걸어왔다니/나여, 나는 지금부터 너하고 절교다’ 안도현 시인은 ‘무식한 놈’이라는 제목의 이런 시를 썼다. 시 속에 담긴 더 깊은 뜻이야 알기 어렵지만 우리는 비슷한 듯 다른 것들을 무심코 넘긴다.
아는 게 자랑이 아니듯 모르는 게 부끄러움도 아니다. 그래도 사소한 차이에 우리는 너무 무감하다. 세상사에 지쳐 그럴까.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한가’인가. 작은 다름에 무심하면 큰 것에도 그렇다. 구절초는 구절초로 알아주기를 바랄 것이다.
손성진 논설실장 sonsj@seoul.co.kr
2016-11-09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