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 가는 버스에 올랐다. 일부러 둘러봤다. 비상용 망치, 소화기가 어디에 있는지. 망치는 앞쪽 좌석 양옆에 비치돼 있었다. 출발을 앞두고 버스 기사가 승객을 향해 서서 망치와 소화기 등 응급 공구의 위치를 알려 줬다. 뒤쪽에도 2개가 더 있었다. 망치 사용법도 설명했다. 전에 못 보던 광경이다. 항공기 승무원 같은 동작도, 영상도 없었지만 비교적 자세했다.
비상시 대처 알림은 진작부터 챙기고, 시행됐어야 할 기본 조치인데 사고를 당하고서야. 승객들은 기사의 안내에 무덤덤했다. 기사도 하지 않던 업무라 쑥스러운 듯했다. 근데 기사의 설명에는 ‘왜’가 없었다. ‘사고’라는 말을 입에 올리는 것 자체가 금기인지는 몰라도, 그러니 시큰둥할 수밖에.
사고가 날 때마다 갖가지 대책이 새로운 내용인 양 쏟아져 나오기 일쑤다. 기사의 졸음 운전 탓에 버스가 승용차를 덮쳤을 때도, 어린이가 유치원 버스 안에서 변을 당했을 때도 그랬다. 안전 관리 매뉴얼만 지켰더라면 없었을 사고인데. 언제까지 미리 손을 보지 않고 소를 잃고 외양간을 고칠 텐가. 차창 밖엔 가을걷이가 끝난 휑한 논과 색색 단풍으로 뒤덮인 산들이 펼쳐졌다.
박홍기 논설위원 hkpark@seoul.co.kr
비상시 대처 알림은 진작부터 챙기고, 시행됐어야 할 기본 조치인데 사고를 당하고서야. 승객들은 기사의 안내에 무덤덤했다. 기사도 하지 않던 업무라 쑥스러운 듯했다. 근데 기사의 설명에는 ‘왜’가 없었다. ‘사고’라는 말을 입에 올리는 것 자체가 금기인지는 몰라도, 그러니 시큰둥할 수밖에.
사고가 날 때마다 갖가지 대책이 새로운 내용인 양 쏟아져 나오기 일쑤다. 기사의 졸음 운전 탓에 버스가 승용차를 덮쳤을 때도, 어린이가 유치원 버스 안에서 변을 당했을 때도 그랬다. 안전 관리 매뉴얼만 지켰더라면 없었을 사고인데. 언제까지 미리 손을 보지 않고 소를 잃고 외양간을 고칠 텐가. 차창 밖엔 가을걷이가 끝난 휑한 논과 색색 단풍으로 뒤덮인 산들이 펼쳐졌다.
박홍기 논설위원 hkpark@seoul.co.kr
2016-11-03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