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비한 자연현상은 몸속 깊숙이 숨어 잠자던 감성을 흔들어 깨우곤 한다. 무지개가 대표적으로 그렇다. 빨주노초파남보 영롱한 무지개를 보는 순간 누구라도 기분이 상쾌해진다. 손에 잡힐 듯 가깝게 보이는 무지개를 잡겠다며 뜀박질하던 수십년 전의 순진했던 동심이 떠올라 입가에 자연스레 미소가 번지기 마련이다.
한줄금 장대비가 쏟아진 후 개어 궁극의 청량감을 느낄 때쯤 나타나는 무지개는 마치 하늘과 땅을 연결해 주는 다리마냥 신비롭다. ‘공기 중에 남아 있는 물방울에 의해 태양광선이 굴절·반사되어 나타나는 자연현상’ 따위의 메마른 설명으로 그 감흥을 깨기는 싫다. 오죽하면 영국의 한 낭만파 시인이 무지개를 보고 마음이 뛰지 않는다면 차라리 죽는 게 낫다고 했을까.
엊그제 전국적으로 무지개, 그것도 쌍무지개가 떠올랐다. 그걸 계기로 지긋지긋했던 폭염이 마침내 물러났다. 온 국민의 기대와 염원이 하늘에 닿은 것일까. 빨주노초파남보, 보남파초노주빨 영롱한 색상으로 하늘과 땅을 이어 주는 쌍무지개 사진을 SNS에 올리며 사람들은 모두 시인이 됐다. 오늘만큼은 쌍무지개의 과학적 원리를 잊자.
박홍환 논설위원 stinger@seoul.co.kr
한줄금 장대비가 쏟아진 후 개어 궁극의 청량감을 느낄 때쯤 나타나는 무지개는 마치 하늘과 땅을 연결해 주는 다리마냥 신비롭다. ‘공기 중에 남아 있는 물방울에 의해 태양광선이 굴절·반사되어 나타나는 자연현상’ 따위의 메마른 설명으로 그 감흥을 깨기는 싫다. 오죽하면 영국의 한 낭만파 시인이 무지개를 보고 마음이 뛰지 않는다면 차라리 죽는 게 낫다고 했을까.
엊그제 전국적으로 무지개, 그것도 쌍무지개가 떠올랐다. 그걸 계기로 지긋지긋했던 폭염이 마침내 물러났다. 온 국민의 기대와 염원이 하늘에 닿은 것일까. 빨주노초파남보, 보남파초노주빨 영롱한 색상으로 하늘과 땅을 이어 주는 쌍무지개 사진을 SNS에 올리며 사람들은 모두 시인이 됐다. 오늘만큼은 쌍무지개의 과학적 원리를 잊자.
박홍환 논설위원 stinger@seoul.co.kr
2016-08-31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