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광장] ‘가자 북으로, 오라 남으로’/문소영 부국장 겸 정치부장

[서울광장] ‘가자 북으로, 오라 남으로’/문소영 부국장 겸 정치부장

문소영 기자
입력 2018-05-15 22:16
수정 2018-05-15 23: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960년 단편소설 ‘판문점’을 쓸 때는 판문점이 1988년쯤에는 박물관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지. 분단이 이렇게 오래갈 줄 알았나. 요즘 분위기면 2050년은 돼야 통일이 되지 않을까 싶다.”
문소영 논설위원
문소영 논설위원
한국 분단문학의 대표 주자였던 소설가 이호철은 2013년 1월에 만났을 때 이렇게 말했다. 한국 나이로 82세인 그는 몹시 상심한 표정이었다. 1951년 1·4후퇴 때 혈혈단신으로 월남했을 때가 19살이었으니, 남쪽에서 63년을 쭉 살았는데도 고향이 뭔지 함경남도 원산을 그리워하며 눈빛이 촉촉해졌다.

단편 ‘판문점’을 쓴 지 52년 만인 2013년에 쓴 중편 ‘판문점2’에 그는 전작에 못 담은 비밀을 털어놓았다. 자신의 사촌형이 북한 국가기획위원회 부위원장이고 외육촌형이 정치국 후보위원이라고 북한 여기자에게 털어놓았고 남은 가족의 안부를 물었던 후일담과 판문점을 두 번째 방문했을 때 ‘북과의 내통’을 폭로할 소련 신문고의 인터뷰를 고사한 덕분에 일주일 뒤에 발생한 5·16군사정변 이후 북한 간첩으로 내몰리지 않았던 이야기 등이다. 그는 “남북이 만날 일이 있으면 무조건 만나고, 자꾸 한솥밥을 먹어야 하고, 남북이 왔다 갔다 하면서 서로 익숙해져 물이 차오르면 넘치듯이 통일이 이뤄졌으면 좋겠다”며 주름 가득한 얼굴로 남북 교류를 절박하게 희망했다.

지난 4월 27일 오전 9시 30분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두 손을 꼭 잡고 판문점 군사분계선에서 남쪽으로 북쪽으로 왔다 갔다 하는 장면을 보면서 소설가 이호철이 문득 떠올랐다. 2050년은 돼야 통일이 될 것 같다며 낮은 목소리로 우울해하던 그가 이 장면을 보았더라면, 통일이 손에 잡힐 듯해 뛸 듯이 기뻤을 텐데.

그러나 이호철은 이제 이 세상 사람이 아니다. 지난 2016년 9월에 돌아가셨다. 월남한 실향민 수가 8만명에서 7만명으로, 다시 6만명으로 주는 것은 이호철과 같은 사람들이 마음에 한을 품고 천수를 다하는 탓이다.

이호철에게 각종 문학상을 안겨 준 단편 ‘판문점’은 어찌 보면 이승만 독재를 끌어내린 1960년 4·19민주화운동의 산물이다. 이승만 독재가 물러가자 4·19혁명 이후 각계각층의 민주화 요구와 통일운동 등이 봇물 터지듯 했다. 남북 학생회담 등이 추진되는 등 통일운동도 무르익었다. 당시 학생들은 “가자! 북으로, 오라! 남으로”와 같은 구호나 “이 땅이 뉘 땅인데 오도 가도 못 하느냐”를 외쳤다. 이런 사회적 분위기에 편승해 이호철은 1960년 9월 정부 공보과에서 가짜 통신원 자격을 얻어 낸 뒤 판문점에 가서 북한 여기자와의 대화까지 시도하게 된 것이다. 물론 그런 통일운동은 5·16쿠데타로 민주 정부가 전복되면서 침체기를 맞이했다.

1960년 학생들의 통일 구호는 1980년대도 익숙한 구호다. 1987년 6·10민주화운동으로 사회 민주화 분위기가 크게 고조되자 그해 8·15광복절 서울 시내에서 “가자! 북으로, 오라! 남으로, 만나자 판문점에서”라는 대학생들이 외쳤다. 27년 전 4ㆍ19혁명에서 비롯된 통일운동의 맥을 이은 것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

1960년부터는 58년, 1987년부터는 31년이 지난 2018년 4월 “가자! 북으로, 오라! 남으로, 만나자 판문점에서”라는 외침은 남북 정상들의 만남으로 그 꿈이 일부 실현됐다고 하겠다. 4ㆍ27 판문점 회담을 앞두고, 남북 의전 담당들은 남북 정상 사이의 거리를 반팔 간격으로 하느니, 주먹 두 개로 잡느니 하면서 아옹다옹했지만, 다들 방송으로 확인했듯이 남북 정상은 손 붙잡고 다녀서 의전들 간의 합의를 무용지물로 만들었다. 남북 관계가 어려울 수도 있지만, 잘 풀릴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 주는 일화가 아닐까 싶다.

6·12 북·미 정상회담에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합의가 제대로, 잘, 완전히, 확실하게 이뤄져야만 올해로 58살 된 “가자! 북으로, 오라! 남으로”라는 외침이 현실화될 수 있다. 분단의 피해자이자 실향민이었던 이호철의 바람대로, 이제 판문점이 남북이 한때 분단됐었다는 과거를 기록한 박물관으로 변화하는 시대가 빨리, 제대로 오길 바란다.

symun@seoul.co.kr
2018-05-16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