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Out] ‘강도적 심리’ 주장과 트럼프의 ‘작은 선물’/진희관 인제대 통일학부 교수

[In&Out] ‘강도적 심리’ 주장과 트럼프의 ‘작은 선물’/진희관 인제대 통일학부 교수

입력 2018-07-12 22:50
수정 2018-07-12 22: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싱가포르 북ㆍ미 정상회담 이후 후속 회담이 평양에서 열렸다. 4주 만에 열린 북ㆍ미 고위급회담에 많은 관심이 쏠렸지만 결과에 대한 평가가 엇갈린다. 북한 외무성은 회담 후 대변인 담화를 통해 유감을 표명하고 미국의 요구를 ‘강도적 심리가 반영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미지 확대
진희관 인제대 통일학부 교수
진희관 인제대 통일학부 교수
미국 언론도 이번 회담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쏟아냈다. 이와는 달리 싱가포르에서 약속한 대로 북ㆍ미 고위급회담이 열린 것 자체를 높이 평가하고, 회담에서 ‘비핵화 워킹그룹’을 구성한 것과 후속 회담 일정을 결정한 것 등은 성과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북한의 성명을 보면 고위급회담에서 어떤 행동을 했고 무엇을 요구했는지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흥미로운 것은 회담 직전에 미국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친서를 전달했다는 점이다. 이와는 달리 북한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를 받았다는 언급은 없다. 북ㆍ미 간에 균형이 맞지 않는다.

그래서일까. 며칠 전 트럼프 대통령은 유럽순방을 앞두고 가진 기자들과의 문답에서 김 위원장에게 줄 ‘작은 선물’(a little gift)을 자신이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선물의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고 본인이 직접 전달할 때 알게 될 것이라고 했다. 결국 폼페이오 일행은 고위급회담에서 아무런 ‘선물’ 도 없이 북한에 비핵화에 대해 요구만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북한은 담화의 마지막 단락에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신뢰심을 아직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불만은 실무 대화의 문제일 뿐이라고 선을 긋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북의 주장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긍정적인 반응을 기대한다는 의미도 담고 있을 것이다.

이처럼 북한은 불만을 표했고, 트럼프 대통령에게 여전히 기대를 가지면서 친서를 보냈으며, 결국 ‘작은 선물’이 있다는 답을 듣게 된 것이다. 그런데 ‘작은 선물’이 선물이 되려면 북한이 원하는 것이어야 한다.

즉 회담에서 제기된 의제 중에 북한이 요구한 두 가지 의제에 해당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하나는 ‘조ㆍ미 관계’개선을 위한 다방면적인 교류 실현, 다른 하나는 종전선언 발표에 대한 것이다.

이런 전개와 같이 그간 북ㆍ미 관계는 장애가 없지 않았지만 조금씩 앞으로 나아가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정상회담 ‘취소’(5월 24일)도 있었지만 이틀 만에 회복되었다. 싱가포르 북ㆍ미 정상회담에서 합의문에 대한 논란이 있었지만 양국 정상은 지속적으로 만족을 표시하고 있다.

이번 고위급회담에서도 갈등이 표출되었지만 북은 ‘신뢰심’을 전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화답하며 선물 이야기를 꺼내 들었다. 문재인 대통령도 며칠 전 기자회견에서 북ㆍ미 협상을 ‘낙관적이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아마도 북ㆍ미 관계가 난관에도 불구하고 양국이 원하는 방향으로 진행돼 왔기 때문일 것이다.

현대사에서 최근과 같이 북ㆍ미가 장기간 대화를 이어 간 적이 없으며, 양국 정상도 곡절이 있어도 여전히 서로에게 신뢰를 보내고 있다.

북ㆍ미 간에 협상이 잘되면 한반도에는 평화체제가 만들어지고 안보 외에도 많은 부문에서 이익을 줄 수 있다. 그런데 북ㆍ미 관계가 조금이라도 삐걱대면 목소리를 높이고 방해하는 힘이 나타난다. 이러한 반대의 힘마저 함께 갈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북ㆍ미 관계 개선이 한반도에 ‘큰 선물’이 되려면 ‘강도 심리’도 뛰어넘어야 하고, 그보다 더한 장애물도 극복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서로에 대한 신뢰심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2018-07-1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