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태 고려대의대 교수·환경부 어린이 환경보건 출생 고호트 운영위원장
같은 날 환경부가 주관하는 미래 국민 건강을 위해 향후 20년에 걸쳐 시행하는 어린이 환경보건 출생 코호트(cohort·특정 환경이나 경험을 공유한 사람들의 집체) 2년차 착수 보고회와 과학전문위원회가 열렸다. 이들 사업은 미국에서는 2000년에 시작됐고, 덴마크 노르웨이가 뒤따랐으며, 2009년 일본도 10만명 규모의 코호트 사업을 시작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부터 시작돼 올해 처음으로 지난번 회의에서 그 결과 일부를 보고하고, 2년차 사업을 위한 개선을 논의했다. 외국 결과를 가져다 쓰면 되지 않을까 생각할 수도 있으나, 그들과 우리는 삶의 환경이 달라 질병 발생의 패턴이 다르다.
출생 코호트는 특정 기간에 태어난 집단을 대상으로 잘 계획된 광범위한 역학 연구를 10년, 20년 단위로 지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인구학적 특성의 변화를 알 수 있고, 이를 의학에 적용하면 질병 발생의 추이를 보고 원인을 규명, 예방할 수 있는 자료가 된다. 흡연과 폐암의 관련성 확인, 원폭 피해자가 특정 질환 발생이 높고 자녀도 일반인의 100배에 달하는 유병률을 보이며, 이들에 대한 보호 대책을 세우는 정책도 코호트 연구를 통해 이루어진 것이다.
우리나라는 이미 2006년부터 환경부 주도로 ‘산모, 영유아 건강영향 조사’를 했다. 그러나 예산 확보의 어려움으로 조사 지역이 한정돼 전국적인 대표성이 부족했고, 조사 규모도 적어서 유병률이 낮은 질환에 대한 연구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일본은 2009년부터 우리보다 먼저 전국 규모의 사업을 시작해 3년 만에 10만명을 모집했다. 환경부에서는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전국적인 규모로 산모 10만명을 모집한 후 영유아기부터 청소년기까지 유해환경 노출과 건강영향을 20년간 추적 조사해 환경 노출에 따른 질병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어린이 환경보건 출생 코호트’ 사업을 힘든 여건에서도 시작했다.
이 사업은 특성상 눈에 보이지 않는 국민 건강의 문제이고, 당장 결과를 내놓을 수 있는 사업도 아니어서 정부와 국회를 설득하기에는 힘든 사업이다. 올해도 지난해의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충실한 자료 수집을 해야 하는데, 예산이 제대로 확보되지 않아 연구 인력 확보가 너무 어려운 실정이다. 가장 걱정스러운 일은 이 사업이 과연 앞으로 20년 지속될 가능성이 있는가 하는 점이다. 현 정부가 역점을 두고 있는 창조경제는 건강한 국민이 있어야 가능하며, 건강한 국민은 건전한 생활환경에서 나온다. 우리나라의 미래는 이제 태어날 아기들의 건강 상태가 좌우할 것이고 이들의 출생환경과 성장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은 바로 지금이다. 이 사업이 지속돼 좋은 결과를 맺을 수 있도록 예산 당국의 관심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2016-03-3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