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리에 종영된 요리 서바이벌 프로그램 ‘흑백요리사’는 다양한 요리 스타일과 개성을 지닌 요리사들이 각자의 독창성을 요리에 녹여내는 모습을 선보였다. 흑과 백으로 나뉜 계급 속에서 오직 맛으로만 승부를 보는 요리 대결은 치열하면서도 감동적이었으며, 서로 다른 사람들이 협력하여 새로운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모습 또한 많은 시청자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 프로그램은 단순한 요리 대결을 넘어, 개성과 차이를 인정하고 함께 어우러져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기도 하였다. 이는 요리사들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우리 사회의 모든 구성원, 특히 장애인의 고용 문제에서도 이러한 다양성과 포용은 매우 중요한 가치이다.
장애인 고용은 기업에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는 기회이다. 조직이 마주하는 문제들은 점차 복잡해지고, 기존의 관점만으로 해결하기에는 어려워지고 있다. 다양한 경험과 시각을 가진 구성원들이 함께 문제에 대해 논의할 때 창의적이고 신선한 해결책이 나올 수 있다. 장애인 고용은 조직 내 다양성을 높여 이러한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마치 다양한 식재료와 조리 방식을 결합하여 새로운 맛을 만들어내는 과정과도 같다. 장애인 고용 역시 단순히 일자리를 창출해 내는 것 이상으로 각자의 다양한 재능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통해 개인과 조직, 사회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레시피를 완성하는 일이다.
그러나 현재 많은 기업이 장애인 고용을 단순히 법적 책임의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2023년 기업체장애인고용실태조사에 따르면 2022년 기업의 장애인 근로자 채용 이유 중 31.2%가 법적 고용 의무이행 때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접근은 단기적으로는 장애인 고용률을 높일 수 있지만, 장애인 근로자와 기업이 함께 성장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장애인 근로자와 기업이 함께 성장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원이 필수적이다. 특히, 장애인들이 자신의 전문성을 살릴 수 있는 맞춤형 일자리와 적합한 업무 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 각자의 특성을 고려한 고용 환경에서 이들은 각자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장애인 고용을 바라보는 사회적 인식의 변화가 그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같은 조사에 따르면, 장애인을 고용한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 사이에는 장애인의 업무 능력에 대한 인식 차이가 존재했다. 예를 들어, ‘장애인은 비장애인보다 생산성이 떨어질 것이다’라는 질문에 장애인 미고용 기업이 고용 기업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러한 부정적 인식은 조직의 다양성을 가로막는 주요한 걸림돌로 작용한다.
장애인은 각기 다른 재능과 잠재력을 가진 인재다. 그들이 조직과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따라서 장애인 고용을 단순한 법적 의무 이행이 아닌, 다양한 사람들이 모두가 함께 일하는 포용적 사회로 나아가는 중요한 과정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흑백요리사에서 요리사들이 각기 다른 재료로 새로운 맛을 창조했듯이, 장애인을 고용하는 일은 다양한 재능과 관점을 모아 풍요롭고 창의적인 사회를 만드는 과정이다. 장애인 일자리는 단순한 지원을 넘어, 다양성을 위한 중요한 레시피이다. 기업과 사회가 협력해 차이를 조화로 바꾸고, 더 나아가 다양성을 통해 모두가 함께 성장하는 미래를 만들어가길 기대한다.
이종성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이사장
이 프로그램은 단순한 요리 대결을 넘어, 개성과 차이를 인정하고 함께 어우러져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기도 하였다. 이는 요리사들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우리 사회의 모든 구성원, 특히 장애인의 고용 문제에서도 이러한 다양성과 포용은 매우 중요한 가치이다.
장애인 고용은 기업에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는 기회이다. 조직이 마주하는 문제들은 점차 복잡해지고, 기존의 관점만으로 해결하기에는 어려워지고 있다. 다양한 경험과 시각을 가진 구성원들이 함께 문제에 대해 논의할 때 창의적이고 신선한 해결책이 나올 수 있다. 장애인 고용은 조직 내 다양성을 높여 이러한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마치 다양한 식재료와 조리 방식을 결합하여 새로운 맛을 만들어내는 과정과도 같다. 장애인 고용 역시 단순히 일자리를 창출해 내는 것 이상으로 각자의 다양한 재능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통해 개인과 조직, 사회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레시피를 완성하는 일이다.
그러나 현재 많은 기업이 장애인 고용을 단순히 법적 책임의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2023년 기업체장애인고용실태조사에 따르면 2022년 기업의 장애인 근로자 채용 이유 중 31.2%가 법적 고용 의무이행 때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접근은 단기적으로는 장애인 고용률을 높일 수 있지만, 장애인 근로자와 기업이 함께 성장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장애인 근로자와 기업이 함께 성장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원이 필수적이다. 특히, 장애인들이 자신의 전문성을 살릴 수 있는 맞춤형 일자리와 적합한 업무 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 각자의 특성을 고려한 고용 환경에서 이들은 각자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장애인 고용을 바라보는 사회적 인식의 변화가 그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같은 조사에 따르면, 장애인을 고용한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 사이에는 장애인의 업무 능력에 대한 인식 차이가 존재했다. 예를 들어, ‘장애인은 비장애인보다 생산성이 떨어질 것이다’라는 질문에 장애인 미고용 기업이 고용 기업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러한 부정적 인식은 조직의 다양성을 가로막는 주요한 걸림돌로 작용한다.
장애인은 각기 다른 재능과 잠재력을 가진 인재다. 그들이 조직과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따라서 장애인 고용을 단순한 법적 의무 이행이 아닌, 다양한 사람들이 모두가 함께 일하는 포용적 사회로 나아가는 중요한 과정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흑백요리사에서 요리사들이 각기 다른 재료로 새로운 맛을 창조했듯이, 장애인을 고용하는 일은 다양한 재능과 관점을 모아 풍요롭고 창의적인 사회를 만드는 과정이다. 장애인 일자리는 단순한 지원을 넘어, 다양성을 위한 중요한 레시피이다. 기업과 사회가 협력해 차이를 조화로 바꾸고, 더 나아가 다양성을 통해 모두가 함께 성장하는 미래를 만들어가길 기대한다.
이종성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이사장
이종성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이사장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