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태웅 농촌진흥청장
지난 3월부터 시행한 ‘치유농업법’도 있다. 농촌에 널려 있는 여러 자원을 활용해 국민의 건강을 좋게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농촌’이다. 농촌은 주민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는 마을이나 지역이고, 이곳에 사는 사람들을 우리는 ‘촌스럽다’고 한다. 2019년 농촌경제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5년 이내에 귀농·귀촌을 원하는 인구는 총 945만명이다.
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이런 국민적 여망과 정책 수요를 반영해 ‘농산어촌유토피아특별위원회’를 발족시켰다. 이 위원회는 여러 부처와 힘을 합쳐 농촌·산촌·어촌으로 돌아가는 사람들의 성공 사례를 만들어 확산시키는 것이다. 한마디로 ‘촌사람’을 만드는 국가 정책이다.
이쯤에서 사전을 펴고 ‘촌스럽다’를 찾아보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어울린 맛과 세련됨이 없이 어수룩한 데가 있다’고 나온다. 사전 풀이 그대로만 따르자면 ‘농산어촌유토피아특별위원회’에서 ‘어수룩한’ 사람들을 많이 만드는 ‘촌스러운’ 삶을 부추기고 있고, 치유농업을 주관하는 농촌진흥청에서는 ‘세련됨이 없는’ 사람들에게 ‘어울린 맛 없이’ 치유만 소개하고 있다. 사전에 있는 낱말 풀이가 국민 말글살이와 전혀 부합하지 않고 있다. 지난해 귀촌 인구는 전년보다 7.4% 증가한 47만 7122명이라고 한다. 이렇게 촌으로 옮기는 사람들은 스스로 ‘어울린 맛과 세련됨이 없이 어수룩’하고자 촌으로 가는 것이 아니다. 농사를 짓거나 창업을 하고자 또는 복잡한 도시를 떠나 여유를 찾고자 옮기는 것이다. 지금처럼 촌스럽다의 풀이가 하나뿐이라면 농산어촌을 활성화하겠다며 위원회와 법률까지 만들어 지원하는 정부 정책을 뒷받침할 수 없고, 귀농ㆍ귀촌 인구가 느는 현상도 설명할 수 없다.
언어 사용 현실을 반영해 사전에 올리는 낱말을 추가하고, 뜻풀이를 수시로 바꿔야 하듯이 ‘촌스럽다’는 낱말의 뜻풀이도 여러 가지 뜻을 더 넣어야 한다. ‘자연과 함께하고자 농촌으로 가려는 생각’이나 ‘촌을 사랑해 자연과 함께 삶을 가꾸려는 마음가짐’ 같은 풀이를 추가하면 좋을 것이다.
‘촌스럽다’는 뜻이 사회적으로 재해석되기를 기대한다. 촌스러움이 생명의 근원과 참된 위안의 뜻으로, 농업과 농촌의 정겨움과 희망, 순수의 뜻으로 재해석돼 국민적 공감이 이뤄지길 기대한다.
2021-08-1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