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경미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다행히도 우리가 살아온 역사적 기록들은 우리 조상들이 당면한 문제를 극복한 것처럼 우리도 COVID-19에 어떻게든 적응할 것임을 보여준다. 하지만 어떤 과학적 사실도 어떤 역사적 기록도 개개인이 그 과정에서 감당하고 견뎌내야 하는 마음의 어려움에 대해선 자세히 말해주지 않는다. 그저 어떤 성공한 사례와 어떤 실패한 사례로만 우리에게 전달될 뿐이다. 필요한 건 지금 바로 이 순간에 이 힘든 날들을 견디며 이겨내기 위해 나를 다스릴 방법인데, 요즘 같이 바쁜 세상에 가야할 길을 말해주지 않고, 그 많은 정보 속에서 혼자 찾아서 깨달으라 한다. 어찌해야 하는지 뭘 해야 하는지 답답한 마음이다.
COVID-19로 어려워진 마음을 위로하려는 많은 시도 중에 디지털을 이용한 접근이 가장 눈에 띈다. COVID-19로 인한 수요가 증가했을 뿐 아니라 디지털 치료제(digital therapuetics, 디지털 디바이스를 이용해 제공하는 심리치료의 일종)가 미국 FDA의 승인을 받음으로써 그 확산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실제 내년도 국내외 연구나 산업개발 프로젝트에서 디지털 치료제는 가장 핫한 아이템이 되었다. VR은 물론 로봇이나 챗봇 등 전에 없던 시도들도 눈에 띄지만 아직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형태는 애플리케이션이다. 구글이나 iOS 스토어에서 마음 건강과 관련된 아이템을 치면 백여 가지가 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손쉽게 찾을 수 있다. 적어도 정신건강 서비스에 대한 장벽이 높고, 서비스에 대한 보험처리가 거의 되지 않는 국내 상황에서는 반가운 일이다.
그런데 그 수많은 애플리케이션 중에 추천하고 싶은 것은 몇 개 되지 않는다는 것이 안타깝다. 그리고 누군가의 노력이 담긴, 그리고 때론 국가의 지원을 받은, 그 수많은 결과물이 과학적인 근거 없이 상식 수준에서 개발되었다는 사실은 더 안타깝다. 정신건강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 본 경험자로써 그 힘든 과정을 너무 잘 알기에 결과물을 가지고 깐깐하게 비판하고 싶은 마음은 전혀 없다. 내 것도 턱없이 부족한데, 뭐 남의 것 까지 비판하랴. 하지만, 적어도 새로운 노력을 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한 가지는 강조하고 싶다. 개발의 시작은 반드시 과학적 근거가 있는 자료 찾기여야 한다고. 그리고 심리학에서는 이미 사람의 마음을 위로하고 다스리는 여러 가지 효과적인 방법들이 축적되어 있으니, 반드시 그걸 찾아보고 적용하라고.
모든 마음의 문제에 대한 과학적인 접근법은 없지만, “많은” 문제에 대한 과학적인 접근법은 꽤 잘 정리되어 있다. 그리고 축적된 심리학적 지식은, 사람들을 변화시키려면 과학적으로 증명된 “효과적인” 방법을 꽤 “오랫동안” 엄청난 “노력”을 해야 달성할 수 있음을 알려준다. 쉽게 바뀔 수 있었으면 문제가 되지 않았을 것이고, 그렇게 쉬웠으면 애초에 전문가들의 축적된 노력은 있지도 않았을 것이다. 이미 이렇게 좋은 정보가 있는데 모른다고 안 쓰는 것은 무책임한 일이고, 충분히 효과적인 것을 담을 수 있는데, 노력하지 않는 것은 반칙이다.
정경미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