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
북극을 개발 대상으로만 보던 국제사회는 점차 북극에 대한 탐구와 보전 필요성에 눈떠 가고 있다. 미국, 러시아 등 북극권 8개국은 1996년 북극이사회를 설립해 북극과 관련된 국제규범을 신설하는 한편 공동연구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북극 환경보호와 개발에 나서고 있다.
우리나라도 1999년 최초의 북극탐사를 시작한 이래, 다산 북극과학기지, 아라온호 등 탄탄한 연구 인프라를 기반으로 북극 연구에 동참하고 있다. 2013년엔 북극이사회의 정식 옵서버로 가입했고, 북극 해빙이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의 한파와 폭설의 주요 원인이라는 점을 2015년 세계 최초로 규명하는 등 소기의 성과도 도출했다.
특히 비북극권 국가로는 유일하게 북극협력주간을 매년 개최해 국내외 북극 전문가와 함께 국제사회에 북극미래비전을 제시하는 등 그 역할을 다하고 있다. 지난 7일부터 시작된 올해 북극협력주간에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북극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해법을 찾는 심도 깊은 논의의 장이 마련될 예정이다.
해양수산부는 얼마 전 수립한 ‘극지과학 미래발전 전략’을 통해 극지 연구역량을 강화하고, 실질적인 연구 성과도 창출할 계획이다. 고위도 지역 연구 선도를 위한 차세대 쇄빙선을 확보하고, 한반도 기후변화 예측 등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연구를 확대한다. 또 북극 항로 개척 등 새로운 기회도 적극 만들 것이다.
최근 코로나19로 국가 간 교류와 협력이 위축되고 있다. 북극 연구처럼 여러 나라의 협력이 필수적인 영역까지도 그 여파가 미치고 있는 것 같아 안타깝다. 이번 북극협력주간이 코로나19라는 암초에도 불구하고, 국제사회의 활발한 극지 협력과 공동연구의 촉매제가 되길 바란다.
2020-12-09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