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병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
과거 선진국의 과학기술을 빠르게 따라가기 위해서는 정부 주도의 연구개발 정책이 효과적이었지만, 창의적 아이디어와 혁신적 도전이 무한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지금은 기존과는 다른 과학기술 정책이 필요하다.
먼저, 젊은 연구자들이 안정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 최근 10년간 노벨과학상 수상자 약 66%가 20∼30대에 거둔 연구 성과로 노벨상을 받았다. 독자적인 연구 성과를 축적할 수 있는 기회가 일찍부터 보장됐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노벨상을 위해서만은 아니더라도 젊은 과학자의 도전적 연구에 대한 꾸준한 지원은 인류 지식 확장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바이오헬스, 우주 등 우리 사회에 파급력이 큰 분야이지만 민간이 하기 어려운 차세대 기술 분야에 대해서도 정부가 나서서 국가 성장을 견인할 신성장동력으로 확실히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정부는 지원을 더욱 강화할 것이다.
우수한 연구 성과가 연구실에 머물러 있게 되면 국민의 삶도, 우리 경제도 변화의 동력 없이 정체하게 된다. 우리 주력산업인 반도체의 기반도 연구실에서 비롯됐고, 우리의 건강한 삶을 지켜 주는 의료기술도 과학의 결과물이다. 우수 과학자의 연구 성과가 연구실 차원에서 사장되지 않고 국토 전반으로 골고루 확대될 수 있도록 지역의 과학기술 역량 강화도 추진할 것이다.
지금 대한민국을 만든 바탕에는 과학기술과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도전을 멈추지 않은 과학기술인들이 있다. 장영실의 든든한 후원자가 돼 준 세종의 원대한 꿈과 믿음을 되새기며, 과학자들이 마음껏 도전할 수 있는 기초를 다져 나가는 데 과기정통부가 앞장서 노력할 것이다.
2020-02-05 3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