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말다듬기, 낯섦과 익숙함의 경계에서/김형배 국립국어원 학예연구관

[기고] 말다듬기, 낯섦과 익숙함의 경계에서/김형배 국립국어원 학예연구관

입력 2019-07-23 17:20
수정 2019-07-24 02: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형배 국립국어원 학예연구관
김형배 국립국어원 학예연구관
1991년 개원 이래 국립국어원에서는 꾸준히 우리말 다듬기 사업을 진행해 왔다. 초기에는 외국어나 한자어를 되도록이면 고유어 중심으로 바꾸는 ‘순우리말 쓰기’가 주된 방향이었지만, 근래에는 소통성에 중점을 두고 ‘쉬운 말’로 말다듬기를 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말다듬기가 ‘순우리말 쓰기’라고 생각하는 일부 사람들은 거부감을 나타내기도 한다. ‘텀블러’를 ‘통컵’으로 다듬었을 당시 ‘컵’은 외래어가 아니냐는 비판이 적지 않았다.

그래서 말다듬기의 방향성에 대해 국민과 공유할 필요를 절실히 느낀 바 있다. 누구나 쉽게 이해하게 하려는 것이 말다듬기의 목적이라면 ‘가스, 라디오, 카드, 디지털’처럼 이미 국어의 일부가 된 외래어를 굳이 배제할 이유가 있을까.

쉬운 말로 소통하는 일이 가치 있는 일이라고 다들 공감하지만, 실제 말다듬기 과정에서는 ‘낯설고 자연스럽지 않은’ 새로 다듬은 말보다는 어려워도 원래 쓰던 말이 ‘자연스럽다’는 벽에 맞닥뜨리곤 한다. ‘자연스럽다’는 것과 ‘자연스럽지 않다’는 것은 어떤 차이일까. 아무래도 먼저 받아들인 말이 자연스러울 것이고 그 말 대신에 다른 말로 대체하려고 하면 그 ‘자연스러움’에서는 조금 멀어질 것이다.

그러나 다소 ‘자연스럽지 않음’을 극복하고서라도 우리말 다듬기를 해야 하는 까닭은 영어를 잘 모르거나 전문 분야에 지식이 없는 사람들을 소외시키지 않으면서 우리말로 누구나 쉽게 소통하는 언어 환경을 만드는 것이 가치 있는 일이기 때문이다.

물론 새로 들어온 어려운 외국어를 다소 낯선 우리말로 바꾸는 일은 끊임없는 노력이 따름에도 정착할 확률은 사실상 높지 않고 비효율적인 일이다. 실제로 지금까지 국립국어원에서 다듬은 말은 2만여 개에 이를 정도로 많지만, 진정으로 국어 생활에 정착된 다듬은 말은 그리 많지 않다.

그러나 점점 더 비중이 높아지는 외국어는 우리말의 생명력에 치명적인 피해를 줄 수 있다. 따라서 우리말로 대신할 말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이로써 쉽게 소통하려는 노력은 그만큼 가치 있는 일이다. 우리 말글을 더 쉽고 윤택하게 쓰는 사회 분위기를 만드는 일에 우리 모두가 관심을 두고 참여해 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2019-07-24 3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