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자동화시대, 노인 일자리가 필요하다/유한나 파이터치연구원 선임연구원

[기고] 자동화시대, 노인 일자리가 필요하다/유한나 파이터치연구원 선임연구원

입력 2019-05-21 17:28
수정 2019-05-22 02: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유한나 파이터치연구원 선임연구원
유한나 파이터치연구원 선임연구원
한국의 고령화 속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 중에서 가장 빠르다. 2000~2017년 전체 취업자 중 고령층 비중이 한국은 11.6% 증가한 것에 비해 OECD 26개 국가들은 평균 7.9% 증가했다. 설상가상으로 고령층은 육체적으로 힘든 일을 하기 어렵기 때문에 로봇에 의해 대체되기 쉽다. 즉 근로자가 고령화될수록 자동화가 촉진되는 것이다.

OECD 국가 연도별 데이터를 사용해 고령화와 자동화 촉진 효과의 관계를 직무유형별로 분석했다. 결과는 이랬다. 고령층이 청소, 경비 같은 육체적이며 반복·단순한 일에 종사할수록 자동화가 촉진됐다. 육체적인 일이지만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이 필요한 비반복적인 일에 고령층이 종사할수록 자동화 촉진 효과는 감소했다. 사회복지사, 장애인 활동 도우미, 직업재활 상담사, 방과후 아동 돌보미, 숲해설가, 반려견 도우미 등의 일자리는 상대적으로 로봇으로 대체되기 어려웠다. 이 분야에서 고령자들은 지식과 경험을 살려 다른 사람들을 돕고 위로하며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다.

안타깝게도 현실은 고령층에 유리하지 않게 조성됐다. 지난해 우리나라 고령층의 46.7%는 경비·청소 등 단순하고 반복적인 일자리에 종사하고 있다. 한층 경쟁력 있는 일자리로 고령층을 유도할 정책이 필요하다. 어떤 정책일까.

첫째, 사회복지사, 반려견 도우미 등과 같이 자동화되기 어렵고 누군가와의 상호작용이 필요한 분야의 고령층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활성화돼야 한다. 고령층을 위한 평생학습 프로그램이 취업·창업 준비, 음악·미술·스포츠 등으로 다양하지만 고령층의 재취업이나 이직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는 분야의 교육은 부족하다. 둘째, 고령자들이 기존 일자리 정보시스템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시스템 통합과 홍보가 필요하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제공하는 일자리 정보들이 산재돼 있어서, 일하기를 원하는 고령자들이 실질적인 정보를 습득하는 데 방해가 되고 있다.

셋째, 바닥을 교체하거나 확대경을 구비하는 등 고령 근로자들이 더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 개선된 근로환경은 상품과 서비스 질을 향상시켜 결과적으로 생산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2019-05-22 3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