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스크린 상한제, 이제 함께 논의할 때다/노철환 인하대 연극영화학과 교수

[기고] 스크린 상한제, 이제 함께 논의할 때다/노철환 인하대 연극영화학과 교수

입력 2019-04-29 17:36
수정 2019-04-30 02: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노철환 인하대 연극영화학과 교수
노철환 인하대 연극영화학과 교수
‘어벤져스: 엔드게임’을 둘러싼 관심이 뜨겁다. 상영점유율(80.8%), 좌석점유율(85.0%) 기록을 갈아치웠다.

뜨거운 열기에도 관람은 어렵지 않다. 전국 3058개 스크린 중 2760개관에서 상영 중이기 때문이다. 4월 마지막 주말 현재 극장 상영 중인 영화는 총 44편(이번 주 개봉작 8편)이다. 43편의 영화가 전국 곳곳에 흩어져 있는 19.2% 상영 회차를 나눠 가져야 한다. 관객에게 ‘어벤져스: 엔드게임’ 말고는 선택지가 없어 보인다. 과히 스크린 독과점이라 부를 만한 상황이다.

스크린 독과점이 꼭 총관객 수 증가를 보장하지는 않는다. 관객의 관람을 개봉 초기에 집중시킬 뿐이다.

1603회 상영으로 시작한 ‘변호인’의 흥행 성적(1195만명)은 1만 1429회 상영으로 개봉한 ‘어벤져스: 인피니티워’(1121만명)보다 나았다. 개봉 주말 322만명을 동원한 ‘쥬라기 월드: 폴른 킹덤’ 최종 관객 수는 566만명에 그쳤지만, 71만명으로 첫 주를 시작한 ‘보헤미안 랩소디’의 흥행은 1000만 문턱(995만명)까지 갔다. 둘은 각각 1932개관, 811개관 규모로 개봉했다.

스크린 독과점 배경에는 한국의 독특한 배급 상영 질서가 자리한다. 상영 기간과 상관없이 정해진 비율에 따라 배급사와 극장이 수익을 나누는 ‘고정부율제’다. 반면 영화 선진국이라 불리는 나라 대부분은 ‘변동부율제’를 적용한다. 개봉 초기에 배급사 몫이 크고, 상영 기간에 비례해 극장 몫이 늘어나는 방식이다.

변동부율제하에서 극장은 장기 흥행을 선호한다. 지난해 미국 흥행 1위를 차지한 ‘블랙팬서’ 개봉 규모는 4020개관이었다. 전미 스크린의 약 10% 정도인데, 일반적인 대형 개봉 기준선에 해당한다. 총 7억 달러를 벌어들인 이 영화의 개봉 기간은 26주였다. 프랑스는 멀티플렉스의 특정 영화 상영을 보유 스크린의 약 25%(최대 4개) 내외로 제한하는 강력한 스크린 상한제를 적용한다. 프랑스의 대형 영화 개봉 규모는 전국 스크린의 15% 정도에 해당하는 900개관이다.

영화진흥위원회가 발표한 2018년 영화소비자조사 결과 ‘스크린 독과점 때문에 보고 싶은 영화를 볼 수 없었다’고 응답한 관객이 전체의 30%였다. 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도 스크린 상한제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최근 밝혔다.

스크린 상한제는 보다 많은 영화에 상영 기회를 제공해 한국 영화산업 전체를 지원하는 움직임이다. 안목 높은 영화 애호가들이 원하는 영화를 멀티플렉스에서 마블영화 개봉 주에도 볼 수 있는 관람 문화 형성의 첫걸음이기도 하다.
2019-04-3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