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BS가 서울시 출연기관 지정에서 해제돼 지원이 끊기면서 존폐의 기로에 섰다. 사진은 서울 마포구 상암동 TBS 본사.
도준석 전문기자
도준석 전문기자
행정안전부가 ‘편파방송’ 논란에 휩싸였던 TBS(서울교통방송)를 ‘서울시 출연기관 지정’에서 해제했다. 지난 6월 서울시가 행안부에 지정 해제를 신청한 데 따른 조치다. 서울시의회는 2022년 11월 TBS에 대한 서울시의 예산 지원을 중단하는 내용의 조례안을 통과시켰고, 지난 6월부터 지원을 끊었다. 이로써 TBS는 서울시의 손을 완전히 떠나 민영화를 통한 독립경영의 길을 가게 됐다. 하지만 그동안 연 400억원 예산의 70%를 서울시 지원에 의존해 왔다는 점에서 민간자본 유치 등 자구책을 찾지 못할 경우 폐업의 운명을 맞을 수도 있다.
TBS가 존폐 기로에 서게 된 건 자초한 측면이 크다. 인터넷과 스마트폰 발달로 교통안내 기능을 사실상 상실한 데다 끊임없이 편파시비에 휘말리는 등 언론이 지켜야 할 공정성을 저버렸기 때문이다. 특히 시사프로 ‘김어준의 뉴스공장’은 2022년 대선을 앞두고 노골적으로 특정 후보를 지지하는가 하면 ‘쥴리’ 의혹 , ‘생태탕’ 의혹 등 보수 진영 인사들을 겨냥한 근거 없는 가짜뉴스와 음모론을 집요하게 내보냈다. ‘신장식의 신장개업’과 ‘아닌 밤중에 주진우입니다’도 뉴스공장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뉴스공장은 방송통신심의위원회로부터 21건의 법정 제재까지 받았다. 공정성을 위반했거나 타인을 비방·조롱해서다. 하지만 TBS는 프로그램을 폐지하지도, 진행자를 교체하지도 않았다.
TBS는 지난해 380여명이었던 직원을 240여명으로 줄이는 등 고강도 구조조정까지 했다. 하지만 이미 늦은 감이 있다. 9월부터 임금 체불이 불가피하다는 얘기까지 들린다. 인수자가 나서지 않으면 올 연말로 예정된 방송통신위원회의 재허가 심의를 통과하지 못할 가능성까지 있다. 자금 조달 능력은 재허가 심의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다. TBS가 처한 현실은 자생력이 허약한 공영방송이 정치바람에 휩싸여 타락하면 어떤 결과가 빚어지는지를 잘 보여 준다. 공정성 확보를 제1의 책무로 여겨야 할 공영 언론들이 타산지석으로 삼을 만하다.
2024-09-1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