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사 군무원이 요원정보 빼돌렸다니
6년 전도 ‘사고’… 구멍 뚫린 보안 개탄
국군정보사령부 해외 요원들의 정보가 무더기로 유출돼 우리 군의 해외정보망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사진은 국방부 브리핑 모습.
연합뉴스
연합뉴스
언론 보도 등에 따르면 유출된 신상정보는 수천 건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관 등의 신분을 지니고 활동하는 ‘화이트요원’은 물론 한국 정부기관과 전혀 관계없는 것으로 신분을 위장한 ‘블랙 요원’ 정보까지 포함됐다고 한다. 특히 북한 관련 첩보 업무에 종사하는 상당수 요원 정보가 유출돼 북한으로 넘어간 정황도 군 수사당국에 포착됐다고 하니 걱정이 더 크다.
유출 과정을 보면 납득하기 어려운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수사당국은 전역 군인 출신으로 정보사 해외 공작 담당 부서에 근무하는 모 군무원이 개인 노트북에 보안자료를 담아 외부로 유출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군무원은 노트북이 해킹됐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애초에 개인 노트북에 있어선 안 될 보안자료가 어떻게 들어갔는지, 기밀을 개인적으로 저장한 이유가 뭔지, 유출된 기밀들이 어디까지 확산됐는지 오리무중이다. 이 군무원이 북한과 연결된 누군가에게 포섭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한다. 이번 정보 유출로 외국에 파견됐던 일부 요원들이 활동을 접고 급히 귀국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출 범위에 따라 귀국 규모가 더 커질 수도 있다. 일단 신분이 노출된 요원은 재파견이 사실상 불가능해 정보망 손실이 불가피해졌다. 유출 과정을 낱낱이 파악해 피해 규모를 최소화하는 게 급선무다.
정보사에선 2018년에도 공작부서 간부가 수년간 기밀을 외국에 팔아넘기다가 적발된 적이 있다. 그때도 정보사는 범행이 5년간이나 지속된 뒤에야 파악하는 등 보안에 큰 허점을 드러냈다. 불과 6년 만에 더 심각해 보이는 기밀 유출이 벌어진 데 대해 군당국의 뼈아픈 반성이 필요하다. 최근 수미 테리 사건에서 국정원 요원의 아마추어적 접선행위 노출에서도 드러났듯이 정보·첩보 기관에 누적된 보안의식 부재와 기강 해이는 수술이 필요할 만큼 심각해졌다. 치명적인 국익 손상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근본적인 재발 방지 대책을 세워야 한다.
2024-07-29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