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 미국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오픈AI 개발자의 날 행사에서 사티야 나델라(오른쪽) 마이크로소프트 최고경영자(CEO)가 샘 올트먼 오픈AI 전 CEO에게 이야기를 건네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올트먼은 지난 5월 미국 상원 청문회에서 AI의 심각한 위험성을 언급하며 정부의 규제와 개입이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도 AI 챗봇을 사고파는 앱 ‘GPT스토어’를 추진하는 등 상업화에도 큰 관심을 드러냈다. 수익성을 앞세운 올트먼과 달리 이사회 다수는 비영리 기업 오픈AI의 본분인 공익과 안전에 힘을 실었다. 양측 간 불화의 결과가 올트먼의 축출로 이어진 것이다. 하지만 오픈AI의 대주주인 MS가 올트먼을 영입해 새로운 AI 연구팀 설립 계획을 밝힌 데다 오픈AI 투자자들과 직원들이 올트먼의 복귀를 강력히 호소하면서 이번 사태가 앞으로 어떻게 마무리될지 단정하기는 어렵다. 다만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AI 개발 경쟁이 한층 치열한 국면으로 접어들 것이라는 점은 분명해 보인다. 벌써 오픈AI 사태의 최대 수혜자가 MS라는 말이 기정사실처럼 회자하고 있다.
각국 정부와 글로벌 기업은 AI 규제 필요성에 공감하면서도 기술 발전을 위한 인재 육성과 투자 지원 등에 사활을 걸고 있다. 한국경제인협회가 그제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 주요 30국 AI 전문 인재는 47만 7956명이다. 이 중 한국에 있는 인재는 전체의 0.5%인 2551명에 불과하다. 이래선 글로벌 AI 전쟁의 구경꾼 신세를 벗어나기 어렵다.
2023-11-2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