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가 열리고 있는 지난 19일(현지시간) 이집트 샤름 엘 셰이크 총회장 앞에서 ‘당장 기후기금을’이라고 적힌 마스크를 쓴 시위대가 기후기금 마련의 절박성을 요구하고 있다.
샤름 엘 셰이크(이집트) AP 연합뉴스
샤름 엘 셰이크(이집트) AP 연합뉴스
올해 전 세계 탄소배출량 406억t 가운데 80% 이상을 상위 10개국이 차지하고 있지만, 정작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하위 75% 국가가 당하고 있는 만큼 이번 합의는 지극히 상식적이다. 지난여름 국토의 3분의1이 물에 잠기고 1700여명이 숨진 파키스탄 대홍수를 비롯해 태풍, 가뭄, 폭염 등에 따른 사망과 이재민 발생, 농작물 피해, 생물다양성 상실 등 개도국이 겪는 피해는 막심하다. 지난 6월 유엔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기후변화에 취약한 55개국이 지난 20년간 겪은 기후변화 피해는 5250억 달러(약 705조원) 규모로 추정된다.
한국 역시 기후위기 대응과 관련해 적지 않은 책임을 갖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국은 탄소배출량 세계 7위의 나라다. 1인당 탄소배출량은 세계 4위로 훌쩍 올라선다. 2020년 기후변화대응지수(CCPI) 61개국 중 58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탄소배출량 증가율 1위, 석탄발전 비중 4위 등을 기록하며 영국의 한 기후기관으로부터 ‘4대 기후 악당’의 하나로 꼽히기도 했다.
앞으로 기후기금 분담액 등을 놓고 주요 선진국 간에 적지 않은 실랑이가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우리도 예외일 수 없다. 피할 수 없다면 적극 참여해 목소리를 높이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G10 국가의 위상에 걸맞은 역할 분담으로 ‘기후 선진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
2022-11-22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