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궁훈 카카오 각자대표가 19일 기자회견을 갖고 데이터센터 화재로 인한’먹통’ 사태에 대해 책임을 지고 대표직에서 물러나겠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책임 회피라는 비판도 나온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이제라도 화재나 침수 등 재해뿐 아니라 해킹 같은 테러에도 시스템이 신속히 복구될 수 있도록 서버 분산과 백업에 천문학적인 투자와 관심을 쏟아야 한다. 그럼에도 어제 카카오가 내놓은 후속 조치는 기존 계획에서 크게 나아가지 않았다는 점에서 환골탈태 의지가 의심스럽다. 경영진은 “예산, 인프라, 인력 등 여러 가지를 확충할 것”이라는 말만 되풀이했다. 데이터를 ‘쌍둥이 복제’하고 시스템을 이원화하는 데 수십조원이 든다는 이유로 투자에 계속 머뭇댄다면 이번 같은 먹통 사태가 또 터지지 않으리라는 보장이 없다.
카카오가 ‘국민앱’으로의 복귀를 포기한 게 아니라면 좀더 구체적이고 설득력 있는 재해 복구 계획과 피해 보상책을 이른 시일 안에 내놓아야 할 것이다. 구글은 사고가 나면 복구 과정을 분 단위로 공개한다. 화재에 취약한 데이터센터의 특성을 감안해 마이크로소프트는 차가운 바닷속에 센터를 지어 보기도 했다. 네이버 등 다른 빅테크 기업들도 카카오 사태를 반면교사 삼아 정보기술 선진국에 걸맞은 위기대응 체계를 갖추기 바란다. 정부와 공공기관, 대학 등의 데이터센터도 예외일 수는 없다. 세금, 백신 등 편의성을 이유로 민간 플랫폼 의존도가 높아진 정부 행정서비스도 다원화해야 한다.
2022-10-2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