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산업 제2의 르네상스 계기 마련
공급망 복원, 수출상품 다각화 힘쓰길
한국전력 주도로 건설된 아랍에미리트 바라카 원자력발전소. 아랍 국가로는 처음인 2020년 8월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뉴스1
뉴스1
이집트 원전 건설 참여는 2009년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이후 무려 13년 만에 이뤄진 대규모 원전 분야 수주다. 무엇보다 지난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인해 고사 위기에 놓였던 국내 원전산업에 활력을 불어넣게 됐다는 점에서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정부는 이번 이집트 원전 말고도 체코와 루마니아, 폴란드, 사우디아라비아 등의 크고 작은 원전 프로젝트 참여를 추진하고 있다. 체코 원전은 미국ㆍ프랑스 등과 함께 본입찰을 진행 중이고, 루마니아 원전은 재입찰을 준비 중이다.
지난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침체돼 있긴 하지만 우리 원전 기술력은 여전히 세계 정상 수준이고, 무엇보다 세계 최저 수준의 건설 단가와 공사 기간 준수를 자랑한다. 경쟁력을 갖춘 만큼 충분히 달성 가능한 목표라 여겨진다. 특히 탄소배출 저감을 위해 세계 각국이 원전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만큼 우리의 원전산업이 제2의 르네상스를 맞이할 환경은 충분히 갖춰지고 있다고 하겠다.
정부는 110개 국정 과제의 하나로 2030년까지 원전 10기를 수출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정부와 원전업계의 일사불란한 대응이 긴요하다. 바라카 원전 수주 때와는 세계 시장 상황이 판이하게 달라진 만큼 원전 수출상품을 다각화하는 일이 중요하다. 소형원전시장과 원전 정비사업 분야를 집중 공략하는 것도 좋은 전략일 것이다. 시장 위축으로 인해 경쟁력을 잃은 원전 기자재 업체들에 대한 지원책도 강구해 유기적인 공급망을 구축하는 일도 필요하다. 아울러 비핵화 주도권을 앞세워 여전히 세계 원전시장의 강자로 군림하는 미국과의 외교적 협력을 강화하는 데도 정부는 각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2022-08-26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