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용산공원 임시개방이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충분한 오염 정화 작업을 거치지 않은 채 성급하게 개방하는 것에 대한 우려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사진은 지난달 26일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의 시민단체 반대집회.
연합뉴스
연합뉴스
용산공원은 내일부터 열흘간 시범 개방된다. 정식 개방은 9월이다. 당초 지난달 25일 시범 개방하려다가 급하게 미뤘다. 정부는 부인하지만 오염 문제 때문으로 보인다. 원래 정부는 기지 반환 뒤 공원 개방 시기를 7년으로 잡았다. 오염된 땅과 물을 정화하려면 그 정도 시간은 걸린다고 본 것이다. 그런데 윤석열 대통령이 집무실 이전과 함께 공원 조성을 약속하면서 개방 일정이 대폭 앞당겨졌다.
정부는 오염된 토양을 인조잔디로 덮고 공원 체류 시간을 2시간으로 제한하는 등 위해성 저감 조치를 할 것이라고 해명했다. 정부 논리대로라면 “2시간 이상 머무를 경우 건강에 해롭다”고 안내라도 해야 할 판이다. ‘2시간’의 기준도 어떻게 산출된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니켈 같은 휘발성 유해물질은 잔디로 덮어도 얼마든지 빠져나올 수 있다. 땅과 몸이 직접 닿고 공기 속 오염물질이 호흡기로 들어올 수 있는 만큼 충분한 정화 작업은 필수다. 인천 부평 미군기지는 2년, 춘천 기지는 3년 넘게 정화 작업을 했다. 심하게 오염된 흙은 덮을 게 아니라 아예 걷어내야 한다. 정화 비용은 원인 제공자인 미군 측에 확실하게 청구해야 한다. 공원 약속을 지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안전하게’ 지키는 게 더 중요하다. 오염 조사 결과도 투명하게 공개하기 바란다.
2022-06-0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