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서울 도심의 한 대형마트에서 직원이 국내산 돼지고기를 정리하고 있다. 뉴스1
심각한 것은 고물가 흐름이 고착화 조짐을 보이는 점이다. 물가 안정보다는 상승요인이 겹겹이 쌓여 있어서다. 국제 에너지 가격이 계속 오르고 있고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 수입물가 상승요인도 여전하다. 정부는 대선 이후 전기요금을 두 차례 올릴 계획인 데다 가스요금 인상도 예정돼 있다. 무역수지가 최근 두 달 연속 대규모 적자를 낸 것도 물가엔 마이너스 요소다. 무역적자가 지속되면 환율 상승과 수입물가 상승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게다가 대선을 앞둔 정치권 발 대규모 추경까지 기다리고 있다. 수십조원대의 추경이 편성돼 풀리면 물가가 또 한번 요동칠 가능성이 있다. 그야말로 첩첩산중이다.
정부는 지난 연말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2.2%로 전망한 바 있다. 하지만 이런 고물가 추세론 희망사항에 그칠 듯싶다. 새해 들어 오미크론 변이가 폭발적 확산세를 보이면서 정부와 중앙은행으로선 적극적으로 긴축정책을 쓰기도 어려워졌다. 그만큼 물가를 잡기가 더 힘들어진 것이다. 하지만 급격한 고물가는 가뜩이나 힘든 서민들의 주머니를 더 가볍게 한다. 임금이 아무리 올라도 물가가 다 깎아 먹으면 무슨 소용이 있나. 어려운 상황이지만 물가 관리의 고삐를 바짝 죄어야 한다. 대선 후보들도 표밭용 돈풀기만 주장할 게 아니라 물가안정을 통해 서민경제를 살리는 데 좀 더 관심을 기울이길 바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