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토론 도움 안 된다’ 진심인가
토론 활성화 원하는 여론 직시해야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26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성장과 복지의 선순환’을 주제로 공약을 발표하고 있다. 전날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서는’토론 무용론’을 설파했다.
뉴스1
뉴스1
후보자 토론회는 이미 각종 선거에서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자리잡은 지 오래다. 지난해 4월 제21대 국회의원 선거가 끝난 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한국정치학회에 의뢰한 ‘후보자 토론회 효과 분석’ 결과를 보면 유권자의 98.1%는 ‘후보자 토론회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토론회를 이용한 선거 정보 습득이 효과적이었다’고 밝힌 사람은 74.5%에 이르렀다. 이번 대선을 앞두고 MBC가 코리아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도 후보 등록 전이라도 후보 상호 간 TV 토론이 활성화돼야 한다는 응답이 65.7%를 차지했다.
이렇듯 토론이 유권자가 지지 후보를 선택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음에도 유력 후보가 이를 애써 무시하려는 모습을 보이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윤 후보는 “토론을 하게 되면 결국은 싸움밖에 안 나온다”면서 “국민 입장에서 봤을 때 공적인 정부의 최고 의사결정권자를 뽑는데 그 사람의 사고방식이나 이런 걸 검증해 나가는 데 정책 토론을 많이 하는 게 별로 그렇게 도움이 안 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압도적으로 많은 유권자가 토론의 효용을 말하고 있는데, 특정 후보 혼자만 그 뜻을 부정하는 꼴이다.
토론 없는 민주주의를 상상할 수 없듯이 토론 없는 선거도 상상하기 어렵다. 자신의 비전과 철학, 구체적인 정책 방향을 선명하게 드러내는 데 토론만큼 유용한 것도 없다. 그럼에도 토론을 외면하고 선거전 내내 후보 캠프에서 보여 주고 싶은 것만 보여 주겠다는 것은 유권자 수준을 너무 낮게 보는 것이라는 비판에서 피해 갈 수 없다. 그런 점에서는 “논쟁이 벌어지고 서로 설득해야 하고 타협해야 하는 과정 자체가 다툼인데 이걸 회피하면 정치를 안 하겠다는 것”이라는 이 후보의 지적도 일리가 있다. 어차피 윤 후보도 공직선거법에 따라 대선 후보 등록 이후에는 TV 토론에서 비껴갈 수 없다. 대한민국의 5년을 책임지겠다고 나선 윤 후보다. 토론에 나서 자신의 주장을 당당하게 펼치는 그의 모습을 유권자는 하루라도 빨리 보고 싶어 한다.
2021-12-27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