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이 단계적 일상회복 45일만에 백기를 들고 16일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선언한 가운데 붕괴 직전에 놓인 의료 시스템의 재정비가 긴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뒤늦게 강력한 거리두기로 회귀했지만 상황은 몹시 암울하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어제 브리핑에서 “유행이 악화할 경우 12월 1만명, 내년 1월 중엔 최대 2만명까지 확진자가 발생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런 추세라면 위중증 환자 역시 최대 1900명까지 늘어날 것이란 경고음도 요란하다. 무엇보다 의료 시스템 자체가 붕괴되고 있다는 위기감이 크다. 수도권 중환자실 병상가동률은 90%에 육박해 한계에 도달했다. 여기에 위중증 환자는 989명, 확진자는 7828명까지 급증했다. 병상 부족으로 적절한 의료진의 도움도 받지 못하고 사망하는 비극적 사태를 최우선으로 막아야 한다.
전체 병원의 10%에 불과한 공공병원이 코로나19 확진자의 80%를 치료해 왔지만 하루 신규 확진자 수가 이미 7000명을 넘어선 상태에선 역부족이다. 병상 부족을 이유로 재택치료 원칙 방침으로 선회했지만 행정력과 관리 인력 부족으로 응급상황 때엔 적절한 치료조차 못 받는 사례도 많다.
확진자 급증으로 중증환자는 물론 일반 환자 진료까지 어려워지는 악순환에 빠져 의료 시스템 자체가 붕괴 직전의 상황에 직면했다. 전체 병원의 90%에 해당하는 민간병원이 코로나19 환자 치료를 공동으로 분담하는 공공·민간 병원 협력 대응체계 구축이 절실하다. 2주간의 강력한 방역 조치 기간 장기전에 대비해 전면적으로 의료 시스템을 복구해야 하는 과제가 남았다. 의료진의 대대적 보완을 포함해 의료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할 수 있는 대응체계도 조속히 가동하길 당부한다.
2021-12-17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