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배달까지 카카오 계열사 158개
‘상생’ 외면하며 ‘미래’ 말하지 말라
카카오 같은 빅테크 선두 주자들이 소비자의 편익을 높인 혁신의 아이콘이라는 데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하지만 플랫폼 기업이 편리함으로 국민을 길들이자마자 거꾸로 ‘너희 목숨은 내 손에 달렸다’고 고객에게 비수를 들이대는 상황이라면 평가는 달라진다. 빅테크의 대표 주자인 카카오는 2016년 말 70개 남짓이었던 계열사가 지난 6월 말에는 158개로 늘었다. 올해 석 달 만에 계열사를 19개나 늘렸다니 ‘세포분열’의 속도라 할 수 있다. 과거의 재벌 기업이 ‘문어발’이었다면 21세기 빅테크 기업은 더 심각한 ‘지네발’식 확장을 하는 것이다.빅테크 기업은 구시대 재벌과는 다르게 신세대적 기업관(觀)을 첨단기술에 접목해 미래지향적 글로벌 리더로 발돋움할 것이라는 기대를 가졌다. 그러니 대표 주자라는 카카오가 택시, 주차, 대리운전, 스크린골프는 물론 미장원과 꽃배달 사업에까지 진출해 서민 경제를 위협하는 모습은 실망스럽다. 카카오가 택시의 시장 지배력을 80%로 끌어올리면서 이용료를 5배 인상했다가 취소한 사건은 매우 상징적이다. 국민의 뇌리 속 카카오는 신기술을 규제의 사각지대에 적용해 무차별적으로 돈을 버는 기업으로 인상 지워질 가능성이 없지 않다.
정치권이 규제를 언급한 것은 업계의 자업자득이다. 더불어민주당 송갑석·이동주 의원은 지난 7일 ‘공룡 카카오의 문어발 확장-플랫폼 대기업의 불공정 거래 근절 대책’ 토론회에서 “혁신의 상징이었던 카카오가 소상공인에게 높은 수수료를, 국민에게는 비싼 이용료를 청구하며 이익만 극대화하는 ‘탐욕과 구태’의 상징으로 전락했다”고 비판했다. 국민의힘 김기현 원내대표도 “카카오의 골목상권 진입으로 영세 상인의 어려움은 더 가중됐다”면서 “카카오의 독점적 지위를 악용한 갑질 논란도 끊이지 않고 있다”고 했다.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여야를 가리지 않고 문제점을 제기하고 있는 까닭을 해당 기업들은 진지하게 돌아봐야 할 것이다. 카카오와 네이버의 주가는 어제와 그제 급락했다. 플랫폼 기업이 스스로 달라지지 않는다면 규제의 강도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국민은 해외 대표적 빅테크 기업들이 우주개발, 인공지능, 생명연장 등의 분야에 다투어 힘을 쏟고 있는데 우리는 무엇을 하고 있느냐고 반문한다. 인류의 미개척 사업 영역 투자는 아직 힘이 부칠 수도 있다. 그럴수록 영세 골목상권에는 오히려 플랫폼 경영 기법을 전수하는 등 ‘상생의 경영’으로 신세대 기업가 정신을 보이라는 충고를 흘려듣지 말아야 한다. 구시대 재벌의 행태를 답습해서야 미래 기업이라고 할 수 있겠나.
2021-09-10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