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남북 핫라인 복원, 한반도 평화 제도적 결실로 이어져야

[사설] 남북 핫라인 복원, 한반도 평화 제도적 결실로 이어져야

입력 2021-07-27 20:22
수정 2021-07-28 01: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남과 북이 어제 오전 10시 통신연락선을 전격 복원했다고 동시에 각각 발표했다. 북한이 지난해 6월 9일 일부 탈북민 단체의 대북 전단 살포에 반발하며 모든 통신연락선을 일방적으로 끊은 지 13개월여 만이다. 청와대는 “남북 정상은 지난 4월부터 여러 차례 친서를 교환했다”고 밝혔고,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북남 관계가 하루빨리 회복되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며 적극적인 자세를 보였다. 마침 이날은 한국전쟁 정전협정 68주년 기념일이었다.

북한의 자세 변화에 경제난 타개가 목적이라는 등 다양한 분석이 나온다. 중요한 건 이번 관계 복원으로 북한의 무력도발 가능성이 크게 줄었다는 점이다. 북한은 올 초 출범한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의 대화 제의에 일절 응하지 않아 연내 핵·미사일 실험 우려가 제기됐다. 이번 복원으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도발보다는 대화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북한이 기존의 통미봉남(通美封南)에서 남한과의 관계 개선을 우선시한 점도 고무적이다. 남측의 중재자 역할에 한 번 더 기대를 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물론 지나친 낙관론은 경계해야 한다. 북한은 과거에도 돌발적인 사안을 핑계로 불시에 통신연락선을 차단한 적이 여러 번 있었다. 따라서 문재인 정부는 모처럼 조성된 화해 무드를 살리기 위해 북미 간 협상의 조건을 조율하고 대화의 장을 도출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미 행정부도 북한을 대화 테이블로 끌어낼 수 있는 전향적 협상 조건을 준비해야 한다. 2019년 2월 당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에서 국내 정치를 이유로 변심해 ‘노딜’을 초래했다. 이로 인해 김 위원장은 큰 수모를 당했고, 미국에 불신을 품게 됐다는 점을 미국 측도 감안해야 한다.

문재인 정부는 최선을 다하되 임기가 1년도 안 남은 시점에서 거창한 성과에 집착하는 것은 자제해야 한다. 되돌릴 수 없는 한반도 평화의 초석만 다져도 성공이라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 특히 이번에는 정상회담 등 화려한 이벤트보다는 실질적이고 제도적인 평화 정착의 결실을 만들어 내는 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2021-07-2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