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심각한 코로나 우울, 국민의 정신건강도 함께 챙겨야

[사설] 심각한 코로나 우울, 국민의 정신건강도 함께 챙겨야

입력 2021-07-26 20:24
수정 2021-07-27 03: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30세대 우울위험군 비중 높아
정신건강에 장기·적극적 투자를

보건복지부가 6월에 조사해 어제 발표한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는 코로나로 인한 우울증(코로나 블루)이 심각하다는 점을 보여 준다. 조사 대상자의 우울감 정도를 평가한 점수는 5.0점(총점 27점)으로 코로나 발생 전인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2.1점)에 비하면 두 배가 넘는다. 전 연령 우울위험군 평균은 18.1%로 2019년(3.2%)에 비해 거의 6배로 매우 높다. 우울감으로 자살을 생각해 봤다는 비율도 12.4%로 2019년(4.6%)의 2.7배 수준이다.

특히 2030 청년층의 정신건강이 우려스러운 수준으로 드러났다. 20대의 우울점수는 5.8점이고 우울위험군은 24.3%으로 전 연령 평균(18.1%)보다 6.2% 포인트나 높다. 30대도 우울점수 5.6점에 우울위험군 22.6%로 평균보다 높다. 특히 20대 여성의 우울점수가 5.9점으로 모든 성별·연령대 중에서 가장 높다. 20대 남성은 우울위험군 비율이 25.5%로 가장 높았다. 30대 남성의 우울위험군도 24.9%로 20대 남성과 비슷한 수준으로 높은 편이다.

이번 조사는 지난 6월 15일부터 25일까지 진행됐는데, 당시 코로나 신규 확진자가 하루 400명 수준이었다.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로 수도권에서 오후 6시 이후 3인 이상 모임이 금지된 지 3주째인 지금 2030세대가 느끼는 우울감은 더 악화됐을 수 있다. 비수도권도 일괄해 어제부터 3단계로 격상됐다. 우울점수, 자살생각 비율 등이 7월과 8월에 폭증할 것은 자명하지 않겠나.

전문가들에 따르면 재난 후 정신적 후유증은 2년 이후에 나타난다.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동일본대지진 등이 발생한 뒤 2년 후부터 극단적 선택이 늘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재난이 끝나면 정신적 트라우마에 경제적 어려움 등이 더해져 자살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이번 코로나 팬데믹은 언제 끝날지 장담할 수 없지만, 정신건강을 챙길 장기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점은 확실하다.

코로나 팬데믹 속에서 정부는 소상공인을 경제적으로 지원하고, 2030세대의 정신건강도 시급하게 돌봐야 할 것이다. 다행히 현재 지방정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코로나 우울 예방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중앙정부는 심리상담 핫라인을 가동하고 있다. 지난달 말부터 권역별 트라우마센터도 출범해 확진자 등에 대한 심리 지원도 시작했다. 하지만 홍보가 미흡해 필요한 사람들에게 덜 알려져 있다는 것이 문제다. 권역별, 지방정부 등이 운영하는 우울 예방 프로그램을 소셜미디어나 유튜브 등에 적극적으로 홍보해 코로나 우울을 극복하는 데 큰 도움을 줘야 한다.

2021-07-27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