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 기상이변 예외 될 수 없어
이제는 ‘선언’ 아닌 ‘실천’ 나서야
일본 남서부의 시즈오카현 아타미시에서 산사태가 일어나 80채 남짓한 가옥이 휩쓸리는 장면은 충격적이다. 산사태는 100년에 한 번 있을까 말까 한 폭우가 이틀 동안 퍼부은 끝에 일어났다. 지구온난화에 위기감을 느끼지 못하는 인간의 만용에 자연의 응징이 본격화됐다고 할 수밖에 없다. 뿐만 아니다. 북미 서부의 폭염은 최고 섭씨 49.6도를 찍으며 생존의 한계를 넘어섰다. 이번 이상 폭염 탓에 여름에도 에어컨이 필요 없다던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에서는 719명, 미국 오리건주에서는 95명이 사망했다는 소식이다.브라질 아마존에서는 올해 상반기에만 3325.41㎢의 열대우림이 파괴됐다는 뉴스가 들려온다. 반년 동안 제주도 면적 1849.02㎢의 두 배 가까운 열대우림이 아마존에서 사라졌다는 뜻이다. ‘지구의 허파’라는 아마존 열대우림을 훼손하는 이유가 토지 이용을 위한 무단 벌채와 방화 때문이라니 안타까운 노릇이다. 열대우림의 훼손에 환경 보호보다 경제적 개발 이익을 앞세우는 보우소나루 브라질 대통령 정부에 책임을 묻기도 한다. 하지만 지구온난화는 이제 특정 국가에 책임을 떠넘길 수 없는 우리 모두의 문제다.
한반도의 기상이변도 이제는 일상화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올 5월에는 절반 가까이 비가 왔고, 6월에는 국지적 소나기가 전국적이었다. 지구온난화 심화로 한반도가 사실상 아열대 기후에 접어든 것 아니냐는 의문도 적지 않았다. 물론 전문가들은 아열대 지역에서 하루에 한 차례 내리는 스콜과 비슷한 양상일 뿐 한반도의 소나기는 북쪽에서 온 찬공기가 정체되면서 발생하니 원인은 엄연히 다르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아열대 지역 스콜로 비쳐질 만큼 전에 없던 비정상적 자연 현상이 일상화된 것은 걱정이 아닐 수 없다. 전문가들은 7월에 시작된 늦장마도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상이변의 하나라며, 시즈오카와 같은 이상 현상이 우리에게도 닥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이제 기상이변이 이산화탄소 배출 때문이라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다. 이산화탄소의 실질적인 배출량을 ‘제로’(0)로 만든다는 이른바 탄소중립의 필요성도 대체로 공감한다. 우리나라도 2050년 탄소중립을 이룬다는 계획을 이미 지난해 천명했다. 그럴수록 최근의 기상이변은 탄소중립이 ‘선언’이 아니라 ‘실천’의 구호가 되지 않으면 누구도 살아남을 수 없다는 메시지로 받아들이지 않으면 안 된다. 전 지구인이 합심 협력해 탄소중립을 이루어도 최소한 수십년 이상 기상이변과 자연재해가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는 경고를 허투루 들어서는 안 된다.
2021-07-06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