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당 전원회의에서 한반도 정세의 안정적 관리를 강조하면서 대화와 대결에 모두 준비돼 있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혀 장기간 교착상태에 빠졌던 한반도 정세에 변화가 있을지 주목된다.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 총비서는 그제 “우리 국가의 존엄과 자주적인 발전 이익을 수호하고 평화적 환경과 국가의 안전을 믿음직하게 담보하자면 대화에도 대결에도 다 준비돼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 출범 이후 김 총비서가 처음으로 내놓은 공식적인 대미·대남메시지다.
김 총비서가 미국을 비난하는 발언을 전혀 하지 않는 등으로 대화를 앞세운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 화답을 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2018년 북미 접촉이 활발하던 시기에 주로 사용하던 ‘주동적’이라는 표현과 ‘능동적 역할’이라는 발언은 북한이 대화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5월 21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2018년 남북 판문점 선언 및 북미 싱가포르 공동성명을 계승한다며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목표로 실용적이고 조정된 외교적 접근’이라는 대북 정책 원칙을 직접 밝혔다. 그러면서 북한과의 대화·협상 업무를 전담하는 대북특별대표를 없앨 방침을 바꿔 성 김의 대북특별대표 임명을 발표해 북한을 향한 대화 의지를 발신했다. 김 총비서의 발언은 외교적 해법을 강조해온 미국의 대북정책에 북한도 일단 대화할 생각이 있다는 신호를 준 셈이다. 오늘 방한하는 성 김 미국 대북특별대표가 북한과의 대화 재개 방안을 모색하는만큼 북한은 이제 대화 테이블에 나서야 한다.
미국은 북한과의 지속가능한 협상을 위해 비공식 대북 대화 채널을 가진 한국 정부를 적극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점에서 2년 이상 정체된 남북 대화와 북미 대화를 재개하려면 우리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2018년 북한의 뜻을 미국에 전달하며 북미정상회담을 성사시켰듯이 향후 북미대화 재개를 촉진하는데 한국이 촉매제 역할을 해야 한다. 정부는 현실성 있는 방안들을 마련해 북한의 대미, 대남 대화 호응을 유도하는 노력을 기울이길 바란다.
김 총비서가 미국을 비난하는 발언을 전혀 하지 않는 등으로 대화를 앞세운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 화답을 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2018년 북미 접촉이 활발하던 시기에 주로 사용하던 ‘주동적’이라는 표현과 ‘능동적 역할’이라는 발언은 북한이 대화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5월 21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2018년 남북 판문점 선언 및 북미 싱가포르 공동성명을 계승한다며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목표로 실용적이고 조정된 외교적 접근’이라는 대북 정책 원칙을 직접 밝혔다. 그러면서 북한과의 대화·협상 업무를 전담하는 대북특별대표를 없앨 방침을 바꿔 성 김의 대북특별대표 임명을 발표해 북한을 향한 대화 의지를 발신했다. 김 총비서의 발언은 외교적 해법을 강조해온 미국의 대북정책에 북한도 일단 대화할 생각이 있다는 신호를 준 셈이다. 오늘 방한하는 성 김 미국 대북특별대표가 북한과의 대화 재개 방안을 모색하는만큼 북한은 이제 대화 테이블에 나서야 한다.
미국은 북한과의 지속가능한 협상을 위해 비공식 대북 대화 채널을 가진 한국 정부를 적극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점에서 2년 이상 정체된 남북 대화와 북미 대화를 재개하려면 우리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2018년 북한의 뜻을 미국에 전달하며 북미정상회담을 성사시켰듯이 향후 북미대화 재개를 촉진하는데 한국이 촉매제 역할을 해야 한다. 정부는 현실성 있는 방안들을 마련해 북한의 대미, 대남 대화 호응을 유도하는 노력을 기울이길 바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