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 재보궐선거에서 참패한 더불어민주당이 원내대표 선거와 전당대회를 조기에 개최하기로 했다. 원내대표 선거는 5월 중순에서 오는 16일로, 새 지도부를 뽑는 전당대회는 다음달 9일에서 2일로 각각 앞당기겠다는 것이다. 민주당은 선거 패배의 책임을 지고 지도부가 총사퇴함에 따라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해 곧바로 가동에 들어갔다. 당 내부적으로는 참패의 충격에서 벗어나면서 준열한 심판을 내린 국민에게는 ‘반성과 성찰’의 모습을 보여주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그럼에도 민주당의 비대위를 보면 그 ‘반성과 성찰’이 과연 국민이 원하는 ‘변화’를 전제로 한 것인지 의구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원내대표 선거와 전당대회의 조기 개최를 결정한 ‘질서 있는 수습’의 논리 역시 ‘기득권의 재편’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하다고 본다. 당내에서조차 친문(친문재인) 중진인 도종환 의원이 비대위원장을 맡은 것을 두고 벌써부터 ‘당내 특정 세력의 눈높이로 뽑으면 쇄신의 진정성이 생길 수 있느냐’고 꼬집는 지경이다.
진지한 자성의 목소리도 아주 없지는 않았다. 의원총회에서 나온 “집권 이후 국민의 바램과는 반대 방향으로 변한 것 같다”거나 “조국 전 장관 한사람을 지키고자 국민을 갈라 치고 갈등을 조장했음에도 책임지는 사람이 없었다”는 발언이 그것이다. 특히 “민주당이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데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전당대회에 나서지 말라”는 주장은 주목할 만하다. 하지만 소수의견으로 치부되는 것을 넘어 ’해당성 발언’이라는 비판까지 불거진다니 기가 막힌다.
민주당의 ‘발빠른 움직임’이 참패의 원인을 제공한 세력의 근신과 혁신의 믿음을 주는 새 얼굴의 등장을 전제로 하지 않는다면 그저 임기가 끝난 지도부를 며칠 빨리 교체하는 것과 무엇이 다른지 묻고 싶다. 무엇보다 지금 거론되고 있는 원내대표 및 당 대표 후보 면면을 보면 걱정이 앞선다는 것이 시중의 여론이다. 민주당이 달라지기는 커녕 오히려 후퇴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마저 없지 않다. 이런 국민 정서를 절절하게 깨닫지 못하면 정권 재창출은 기대하지 말아야 한다.
그럼에도 민주당의 비대위를 보면 그 ‘반성과 성찰’이 과연 국민이 원하는 ‘변화’를 전제로 한 것인지 의구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원내대표 선거와 전당대회의 조기 개최를 결정한 ‘질서 있는 수습’의 논리 역시 ‘기득권의 재편’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하다고 본다. 당내에서조차 친문(친문재인) 중진인 도종환 의원이 비대위원장을 맡은 것을 두고 벌써부터 ‘당내 특정 세력의 눈높이로 뽑으면 쇄신의 진정성이 생길 수 있느냐’고 꼬집는 지경이다.
진지한 자성의 목소리도 아주 없지는 않았다. 의원총회에서 나온 “집권 이후 국민의 바램과는 반대 방향으로 변한 것 같다”거나 “조국 전 장관 한사람을 지키고자 국민을 갈라 치고 갈등을 조장했음에도 책임지는 사람이 없었다”는 발언이 그것이다. 특히 “민주당이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데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전당대회에 나서지 말라”는 주장은 주목할 만하다. 하지만 소수의견으로 치부되는 것을 넘어 ’해당성 발언’이라는 비판까지 불거진다니 기가 막힌다.
민주당의 ‘발빠른 움직임’이 참패의 원인을 제공한 세력의 근신과 혁신의 믿음을 주는 새 얼굴의 등장을 전제로 하지 않는다면 그저 임기가 끝난 지도부를 며칠 빨리 교체하는 것과 무엇이 다른지 묻고 싶다. 무엇보다 지금 거론되고 있는 원내대표 및 당 대표 후보 면면을 보면 걱정이 앞선다는 것이 시중의 여론이다. 민주당이 달라지기는 커녕 오히려 후퇴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마저 없지 않다. 이런 국민 정서를 절절하게 깨닫지 못하면 정권 재창출은 기대하지 말아야 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