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에서 야권 지도자 알렉세이 나발니의 석방을 요구하는 시위가 들불처럼 번지고 있다. 나발니는 지난해 8월 러시아 국내선 비행기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정권의 소행으로 의심되는 독극물 중독 증세로 쓰러졌다. 독일의 병원에서 치료받고 회복한 그는 푸틴 정부의 탄압이 예상됐음에도 지난 17일 러시아로 귀국해 체포됐다.
지금 러시아에서 벌어지는 시위는 과거의 반(反)정부 시위와 양상이 다르다. 지난 23일 주말 시위에는 전국 100여개 도시에서 최대 30만명이 참가했다.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는 물론 반정부 활동이 드문 세바스토폴, 케메로보 등과 영하 50도 혹한의 시베리아 야쿠츠크 시민들까지 광장으로 뛰쳐나왔다. 특히 시위 참가자의 40% 이상이 첫 참여자이며 중산층 다수가 포함된 점도 심상치 않다. 시위자들은 “러시아는 나의 집, 나는 두렵지 않다”고 외쳤다. 경찰은 무력 진압에 나서 3000명 이상을 연행했으나 시위대는 이번 주말인 30~31일에도 대규모 시위를 예고하고 있다.
나발니 석방을 요구하는 국제사회의 압력도 거세지고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6일 푸틴 대통령과의 취임 후 첫 통화에서 나발니 구금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 호세프 보렐 유럽연합(EU) 외교안보 정책 고위대표는 다음달 초 모스크바를 찾아가 나발니 구금에 대해 항의할 예정이다.
러시아 국민과 국제사회가 이처럼 분노하는 이유는 푸틴 정권이 노골적으로 인권을 탄압하고 민주주의를 비웃기 때문이다. 독살 시도 의혹도 모자라 자발적으로 귀국한 야권 지도자를 대놓고 구금하는 것은 최소한의 인도주의에 대한 정면 도전으로 비판받기에 충분하다. 우리는 러시아 국민의 용기 있는 행동을 전폭 지지하며, 무력 진압에 몰두하는 푸틴 정부에 민주적 시위를 보장할 것을 요구한다.
지금 러시아에서 벌어지는 시위는 과거의 반(反)정부 시위와 양상이 다르다. 지난 23일 주말 시위에는 전국 100여개 도시에서 최대 30만명이 참가했다.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는 물론 반정부 활동이 드문 세바스토폴, 케메로보 등과 영하 50도 혹한의 시베리아 야쿠츠크 시민들까지 광장으로 뛰쳐나왔다. 특히 시위 참가자의 40% 이상이 첫 참여자이며 중산층 다수가 포함된 점도 심상치 않다. 시위자들은 “러시아는 나의 집, 나는 두렵지 않다”고 외쳤다. 경찰은 무력 진압에 나서 3000명 이상을 연행했으나 시위대는 이번 주말인 30~31일에도 대규모 시위를 예고하고 있다.
나발니 석방을 요구하는 국제사회의 압력도 거세지고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6일 푸틴 대통령과의 취임 후 첫 통화에서 나발니 구금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 호세프 보렐 유럽연합(EU) 외교안보 정책 고위대표는 다음달 초 모스크바를 찾아가 나발니 구금에 대해 항의할 예정이다.
러시아 국민과 국제사회가 이처럼 분노하는 이유는 푸틴 정권이 노골적으로 인권을 탄압하고 민주주의를 비웃기 때문이다. 독살 시도 의혹도 모자라 자발적으로 귀국한 야권 지도자를 대놓고 구금하는 것은 최소한의 인도주의에 대한 정면 도전으로 비판받기에 충분하다. 우리는 러시아 국민의 용기 있는 행동을 전폭 지지하며, 무력 진압에 몰두하는 푸틴 정부에 민주적 시위를 보장할 것을 요구한다.
2021-01-2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