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 노사 대부분이 지난해 임금 및 단체 협약(임단협)을 타결하면서 성과급이나 위로금이 대폭 늘어났다고 한다. 하나은행을 제외한 신한은행, NH농협은행, 우리은행, KB국민은행 등 4개 은행이 명칭은 서로 다르지만 통상임금 180∼200% 수준의 성과급·위로금을 지급하기로 한 것이다. 코로나 위기 속에서 위험을 감수하고 창구에서 고생한 직원들에 대한 위로와 보답이라지만, 은행 대출을 늘려 가게와 가계를 유지해야 했던 일반인에게는 마음이 편치 않은 소식이다. 그 불편한 심사를 남이 잘되는 것을 보니 배가 아프다는 거냐는 식으로 폄하해서는 안 된다.
지난해 5대 금융지주는 사상 최대의 이익이 났다. 시중은행들은 경영을 잘했다고 주장하겠으나, 코로나19 위기에 따른 생계형 대출이 급증한 데다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이나 ‘빚투’(대출로 투자) 등의 부동산·주식 투자 대출의 수요가 대폭 증가한 것이 핵심적인 이익 증가의 배경은 아닌가 싶다. 이자 장사를 해 왔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한 이유다. 사회 공동체 구성원들 대부분이 사상 초유의 코로나19 사태로 고통에 직면한 상황에서 시중은행들이 이들의 고통을 지렛대로 천문학적인 수익을 내는 것 자체가 ‘코로나의 역설’이자 한국 사회가 직면한 슬픈 자화상이다.
지난해 시중은행들이 희망퇴직 등을 실시하며 명퇴금 등을 포함해 ‘퇴직소득’으로 9억원 이상을 보상한 것도 비슷한 맥락이다. 물론 시중은행들이 그 나름대로 선진 금융기법을 동원해 이익을 내기도 했겠으나, 대부분의 수익은 바람직하지 못한 예대마진을 통해 이익을 불렸다는 점은 지적해야 한다. 작금의 초저금리 상황에서 예금자에 지급하는 수신금리는 온갖 이유를 갖다 대며 동결됐지만, 가계대출을 억누르기 위한 금융 당국의 규제 조치를 틈타 신용대출이자 등을 포함해 대출금리를 큰 폭으로 올리지 않았나. 코로나 위기라는 전대미문의 사태에 직면해 은행은 ‘포용적 금융’의 관점에서 공동체를 고려하는 경영 자세가 필요하다. 코로나 위기를 지렛대 삼아 벌어들인 수익의 일정 부분을 서민금융 활성화에 기여해야 한다.
지난해 5대 금융지주는 사상 최대의 이익이 났다. 시중은행들은 경영을 잘했다고 주장하겠으나, 코로나19 위기에 따른 생계형 대출이 급증한 데다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이나 ‘빚투’(대출로 투자) 등의 부동산·주식 투자 대출의 수요가 대폭 증가한 것이 핵심적인 이익 증가의 배경은 아닌가 싶다. 이자 장사를 해 왔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한 이유다. 사회 공동체 구성원들 대부분이 사상 초유의 코로나19 사태로 고통에 직면한 상황에서 시중은행들이 이들의 고통을 지렛대로 천문학적인 수익을 내는 것 자체가 ‘코로나의 역설’이자 한국 사회가 직면한 슬픈 자화상이다.
지난해 시중은행들이 희망퇴직 등을 실시하며 명퇴금 등을 포함해 ‘퇴직소득’으로 9억원 이상을 보상한 것도 비슷한 맥락이다. 물론 시중은행들이 그 나름대로 선진 금융기법을 동원해 이익을 내기도 했겠으나, 대부분의 수익은 바람직하지 못한 예대마진을 통해 이익을 불렸다는 점은 지적해야 한다. 작금의 초저금리 상황에서 예금자에 지급하는 수신금리는 온갖 이유를 갖다 대며 동결됐지만, 가계대출을 억누르기 위한 금융 당국의 규제 조치를 틈타 신용대출이자 등을 포함해 대출금리를 큰 폭으로 올리지 않았나. 코로나 위기라는 전대미문의 사태에 직면해 은행은 ‘포용적 금융’의 관점에서 공동체를 고려하는 경영 자세가 필요하다. 코로나 위기를 지렛대 삼아 벌어들인 수익의 일정 부분을 서민금융 활성화에 기여해야 한다.
2021-01-2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