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종 과정 ‘백신 특권층’ 없어야
가짜정보에 백신불신도 곤란해
한국 인구의 88%에 해당하는 4400만명이 접종할 수 있는 코로나19 예방 백신을 확보했다고 정부가 어제 밝혔다. 코로나19를 예방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퇴치법이 우리에게 한 걸음 더 가까이 다가왔다는 소식이 우선 반갑다. 백신은 내년 2~3월부터 들어오지만 보건 당국은 안전성 검토를 거쳐 하반기 접종을 검토한다고 한다. 안전성이 입증된 백신을 접종하려는 정부의 노력은 당연하다. 하지만 지금은 안전성 검증에 까다로운 영국이 8일부터 세계 처음으로 대규모 백신 접종을 시도하는 등 조기 접종을 추진하는 상황이라, 하루라도 빨리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기대하는 국민들이 적지 않음을 정부는 인식해야 한다.백신물량 확보만큼 중요한 정부의 과제는 국민이 수긍할 수 있는 접종 우선순위를 마련하는 것이다. 백신에 최소한의 신뢰를 갖고 있는 국민이라면 하루라도 빨리 주사를 맞고 싶은 것이 인지상정이다. 어렵게 백신물량 확보에 성공한 정부가 우선 접종 순위에서 국민 공감을 얻지 못해 질타당하는 사태는 일어나지 말아야 한다. 보건 당국은 노인과 집단시설 거주자, 만성질환자 등 코로나19 취약계층과 보건의료인을 비롯한 사회 필수서비스 인력 등 3600만명을 우선 접종 대상자로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사회 필수서비스 인력으로는 의료기관 종사자뿐만 아니라 1차 방역 대응요원, 경찰 및 소방 공무원, 요양시설 및 재가복지시설 종사자, 군인 등이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여기까지는 다수의 국민이 합의할 수 있는 기준이다. 다만 우선순위에서 밀려 일정 기간 백신을 맞지 못하는 국민의 불안감이 보건정책에 대한 불신으로 번지지 않도록 하는 노력이 뒷받침돼야 한다. 여기에 백신의 임상시험 결과가 아직 불충분한 어린이와 청소년은 우선접종 대상에서 제외될 것이라고 한다. 그런 점에서 정부는 이제부터 백신의 안전성을 검증하는 노력과 함께 접종 우선순위를 설득력 있게 제시해 국민적 이해를 이끌어 내는 데 전력투구해야 한다.
접종 과정에서는 우선순위를 초월하는 ‘백신 특권층’이 나오지 않게 해야 한다. 무엇보다 국민 다수가 백신을 맞아 집단면역이 형성되기까지는 아직도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지금부터라도 우리 모두 사회적 거리두기를 철저히 실천해 확진자를 줄여 나가면 ‘백신과민’에서도 벗어날 수 있다. 백신을 불신하는 세력이 가짜 정보를 확산하는 탓에 백신 접종을 거부하는 국민도 있을 수 있다. 이들에게는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한 대로 백신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해 스스로 접종 여부를 판단케 하는 것도 정부의 역할이다.
2020-12-0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