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가치 한 달여 만에 5% 하락…‘펀더멘털 튼튼’ 안심해선 안 돼
미중 무역분쟁의 여파가 세계 금융시장을 강타해 국내 금융시장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그제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가 2% 이상 폭락했다. 유럽과 아시아 증시도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미중이 보복관세를 주고받으며 강대강으로 충돌했고, 연말까지 이 대립 구도가 이어진다는 최악의 전망까지 나오는 탓이다.경기 부진에 시달리는 한국 경제는 금융시장의 혼란까지 더해지며 내우외환의 기색이 역력하다. 어제 코스피는 전 거래일에 30포인트 가까이 빠졌다는 점이 반영돼 추가적인 하락은 없었지만, 2050선 붕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원달러 환율은 그제 10원 넘게 급등했고, 계속 상승하고 있다. 2017년 1월 이후 원화 가치가 가장 낮은 수준이다. 환율변동이야 늘 있는 것이지만, 원화의 가치가 하락하는 속도가 너무 가파르다는 점이 문제이다. 지난달 초 1130원대였던 환율은 5% 가까이 오르며 어느새 1200원선을 넘보고 있다.
환율 상승 등 금융시장 혼란의 직접적인 원인은 미국과 중국 등 ‘고래’ 싸움에 한국이 ‘새우 등’ 신세가 될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되는 탓이다. 한국은 전체 수출액의 4분의1을 중국에 수출하는데, 이 중 80%는 중간재로 중국에서 완제품으로 만들어져 미국에 수출된다. 즉 중국의 대미 수출이 타격을 입으면 한국도 직격탄을 맞는 구조다. 미중 무역분쟁이 격화하면 한국은 약 1조원의 수출이 줄어들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특히 최근 원화 가치의 급락은 수출과 고용, 투자 등 우리 경제의 주요 지표들이 일제히 빨간불이 켜진 상태라 우려는 더 커지고 있다. 올 1분기 우리 경제가 전 분기 대비 역성장하다 보니 펀더멘털(기초체력)에 대한 의구심도 커지고 있다. 4월 이후 원화 가치가 아르헨티나와 터키 다음으로 가장 많이 떨어졌다는 건 해외에서 한국 경제를 낙관적으로 보지 않는다는 방증이다.
아직 한국의 대외건전성은 양호하다. 외환보유액과 외국에서 받아야 할 채권에서 갚을 채무를 뺀 순대외채권은 각각 4000억 달러를 넘는다. 다음달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미중이 합의를 도출해 금융시장의 혼란이 수습될 수도 있다. 그러나 미중 관세전쟁이 장기화되거나 다음달에 경상수지 적자가 현실화되면 한국경제 비관론이 제기되면서 급격한 외자유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펀더멘털이 튼튼하다’며 안심해선 안 된다는 뜻이다. 정부는 외환시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미중에 편중된 수출 구조의 다변화에 힘써야 한다. 장기적으로는 구조조정과 규제개혁을 차질 없이 진행해 한국 경제의 기초체력을 키우는 작업이 병행돼야 한다.
2019-05-15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