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이자 여성인권 운동가인 김복동 할머니가 그제 암 투병 끝에 소천했다. 고령에도 위안부 피해를 고발하는 자리를 앞장서 지켰던 꼿꼿한 모습이 눈에 선한데, 끝내 일본 정부의 진정한 사과를 듣지 못하고 눈을 감았다. 한·일 관계가 어느 때보다 경색된 현실에서 고인의 마지막 순간은 더 쓸쓸했을 것이다. 우리 마음은 그래서 몇 배나 더 착잡하다.
고인은 15세에 일본군에게 속아 위안부로 끌려가 8년간 일본의 침략 경로를 따라 여러 나라를 떠돈 뒤 광복되면서 고향으로 돌아왔으나 이후 여성으로서의 삶은 포기했다. 1993년 유엔 인권위원회에서 자신이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임을 공개 증언한 그는 위안부 문제를 세계적 논의의 장으로 이끌어 낸 ‘증거’이자 주역이었다. 정부에 등록된 위안부 피해자 239명 중 생존자는 이제 겨우 23명이다. 2015년 박근혜 정부가 국민적 동의 없이 위안부 합의를 했을 때만 해도 생존자가 46명이었다. 3년 사이 피해자의 절반이 유명을 달리했는데도 일본 정부의 사과는커녕 양국 간 문제 해결의 실마리마저 보이지 않으니 답답할 뿐이다.
졸속 위안부 합의는 피해자들은 말할 것도 없고 국민의 상처에 소금을 뿌린 외교 참사였다. 일본 정부에서 치유금 명목으로 받은 10억엔으로 설립된 ‘화해치유재단’을 지난해 우리 정부는 해산하겠다고 발표했으나, 청산 작업은 진척이 없다. 양국의 외교 갈등 속에 10억엔 반환 절차도 밟지 못한 채 세월만 보내고 있다.
김 할머니는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끝까지 싸워 달라”고 유언했다. 초계기 갈등은 한·일 양국이 대화로 어떻게든 균형을 다시 잡아야 할 외교 문제다. 하지만 인권을 능욕한 위안부 문제만큼은 앞으로도 외교 협상의 대상일 수 없다. 명백한 가해자인 일본의 진정한 사과만이 문제를 푸는 유일한 열쇠다. 아베 총리는 움직일 수 없는 그 진실을 똑똑히 기억해야 할 것이다.
고인은 15세에 일본군에게 속아 위안부로 끌려가 8년간 일본의 침략 경로를 따라 여러 나라를 떠돈 뒤 광복되면서 고향으로 돌아왔으나 이후 여성으로서의 삶은 포기했다. 1993년 유엔 인권위원회에서 자신이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임을 공개 증언한 그는 위안부 문제를 세계적 논의의 장으로 이끌어 낸 ‘증거’이자 주역이었다. 정부에 등록된 위안부 피해자 239명 중 생존자는 이제 겨우 23명이다. 2015년 박근혜 정부가 국민적 동의 없이 위안부 합의를 했을 때만 해도 생존자가 46명이었다. 3년 사이 피해자의 절반이 유명을 달리했는데도 일본 정부의 사과는커녕 양국 간 문제 해결의 실마리마저 보이지 않으니 답답할 뿐이다.
졸속 위안부 합의는 피해자들은 말할 것도 없고 국민의 상처에 소금을 뿌린 외교 참사였다. 일본 정부에서 치유금 명목으로 받은 10억엔으로 설립된 ‘화해치유재단’을 지난해 우리 정부는 해산하겠다고 발표했으나, 청산 작업은 진척이 없다. 양국의 외교 갈등 속에 10억엔 반환 절차도 밟지 못한 채 세월만 보내고 있다.
김 할머니는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끝까지 싸워 달라”고 유언했다. 초계기 갈등은 한·일 양국이 대화로 어떻게든 균형을 다시 잡아야 할 외교 문제다. 하지만 인권을 능욕한 위안부 문제만큼은 앞으로도 외교 협상의 대상일 수 없다. 명백한 가해자인 일본의 진정한 사과만이 문제를 푸는 유일한 열쇠다. 아베 총리는 움직일 수 없는 그 진실을 똑똑히 기억해야 할 것이다.
2019-01-30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