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KBS, SBS 등 지상파 방송사들이 이르면 내년 4월 중간광고를 도입한다니 불만과 우려가 크다. 시청자들의 불편을 초래할 중간광고가 국민적 동의를 얻어 추진되는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신문협회와 리얼미터의 최근 여론조사에 따르면 국민의 60%가 지상파 중간광고 허용을 반대한다.
중간광고는 시청자가 방해받지 않고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는 권리를 일방적으로 침해한다. 프로그램의 중간에 끼어드는 광고가 광고 단가를 높이려는 경쟁으로 시청률 만능주의를 더욱 부추긴다는 사실은 선진국 사례들을 통해 이미 입증됐다. 과도한 광고에 노출된 시청자들을 자극하기 위해 광고와 프로그램 모두 선정성이 심해지는 악순환이 이어질 수밖에 없다. 공영방송들의 공익성이 훼손될 것은 불 보듯 빤하다. 전파의 주인은 엄연히 시청자들인데, 어째서 방송사들의 요구를 고스란히 들어줘야 하는지 대다수 국민은 납득하기 어렵다.
지상파 방송사들은 중간광고가 양질의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방편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시청자들은 드라마와 예능에서 교양 프로그램까지 지상파들이 창의성과 순발력에서 유료방송사나 종합편성채널, 넷플릭스보다 뒤처진다는 인상을 받은 지 오래다. 특정 이념에 편향된 프로그램들로 시청자들의 외면을 자초한 사실도 부정하기 어렵다. 최근 3년간 4800억원이나 감소한 광고 매출은 단적인 방증 아니겠나.
시청자들에게 불편과 불이익을 떠넘기기 이전에 방송사들은 방만한 경영부터 개선해야 한다. 연간 수신료 수입이 6000억원이 넘는 KBS만 해도 연봉 1억원이 넘는 임직원이 전체의 60% 이상이다. “수신료부터 반납하라”는 성토가 괜히 터져 나오는 게 아니다. MBC도 고임금의 간부가 평사원의 두 배다.
중간광고 허용은 지상파 광고 수입을 늘리는 것 말고는 어떤 장점도 보이지 않는 정책이다. 시행령 마련에 이어 입법 예고와 국무회의 심사 등 아직은 여러 절차가 남았다. 명분 없이 밀어붙일 게 아니라 방통위는 시민과 시청자들의 여론에 제대로 귀를 열어야 한다.
중간광고는 시청자가 방해받지 않고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는 권리를 일방적으로 침해한다. 프로그램의 중간에 끼어드는 광고가 광고 단가를 높이려는 경쟁으로 시청률 만능주의를 더욱 부추긴다는 사실은 선진국 사례들을 통해 이미 입증됐다. 과도한 광고에 노출된 시청자들을 자극하기 위해 광고와 프로그램 모두 선정성이 심해지는 악순환이 이어질 수밖에 없다. 공영방송들의 공익성이 훼손될 것은 불 보듯 빤하다. 전파의 주인은 엄연히 시청자들인데, 어째서 방송사들의 요구를 고스란히 들어줘야 하는지 대다수 국민은 납득하기 어렵다.
지상파 방송사들은 중간광고가 양질의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방편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시청자들은 드라마와 예능에서 교양 프로그램까지 지상파들이 창의성과 순발력에서 유료방송사나 종합편성채널, 넷플릭스보다 뒤처진다는 인상을 받은 지 오래다. 특정 이념에 편향된 프로그램들로 시청자들의 외면을 자초한 사실도 부정하기 어렵다. 최근 3년간 4800억원이나 감소한 광고 매출은 단적인 방증 아니겠나.
시청자들에게 불편과 불이익을 떠넘기기 이전에 방송사들은 방만한 경영부터 개선해야 한다. 연간 수신료 수입이 6000억원이 넘는 KBS만 해도 연봉 1억원이 넘는 임직원이 전체의 60% 이상이다. “수신료부터 반납하라”는 성토가 괜히 터져 나오는 게 아니다. MBC도 고임금의 간부가 평사원의 두 배다.
중간광고 허용은 지상파 광고 수입을 늘리는 것 말고는 어떤 장점도 보이지 않는 정책이다. 시행령 마련에 이어 입법 예고와 국무회의 심사 등 아직은 여러 절차가 남았다. 명분 없이 밀어붙일 게 아니라 방통위는 시민과 시청자들의 여론에 제대로 귀를 열어야 한다.
2018-11-28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