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필(JP) 전 총리가 그제 향년 92세를 일기로 유명을 달리했다. JP의 타계로 우리 현대사를 화려하게 장식했던 ‘3김 시대’도 이제 종언을 고하게 됐다. 쿠데타의 주역이었던 JP는 민주화의 상징이었던 김대중(DJ)·김영삼(YS) 전 대통령과 때론 적이 돼 싸우기도 했지만, 정치적 동반자가 돼 정권 창출에 기여하기도 했다.
돌이켜 보면 JP만큼 공과가 교차하고, 영욕으로 점철된 정치인도 없었다. 1961년 박정희 전 대통령과 5·16쿠데타를 주도해 그해 중앙정보부를 만들고 부장에 오른 뒤 공화당을 창당해 6대부터 7·8·9·10·13·14·15·16대까지 9선을 하면서 산업화에 기여를 했지만, 그에게는 ‘정보정치의 효시’, ‘쿠데타의 주범’이라는 낙인이 평생 따라다녔다. 증권 파동 등 이른바 ‘4대 의혹사건’과 대일 청구권 문제가 걸린 ‘김종필·오히라 메모’ 파동 등 박정희 정권의 궂은일은 도맡아 했지만, 나눌 수 없는 권력의 속성상 JP는 항상 2인자에 머물러야 했다. 지역에 기대 정치를 해 지역 분할 구도를 심화시켰다는 비난도 JP에겐 숙명이었다. 1990년 민주공화당 총재 자격으로 보수대연합의 기치를 내걸고 민정당의 노태우 전 대통령, 통일민주당의 YS와 3당 합당을 선언했지만, 이 역시 호남을 고립시키는 지역 연합이었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았다. 이 때문인지 JP는 노년에 평생의 꿈이던 내각제에 더해 지역 구도의 타파를 염원했다고 측근들은 전하고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JP는 민주화에도 적잖은 기여를 했다. 1997년 ‘DJP(김대중·김종필) 연합’을 성사시켜 여당에서 야당으로 수평적 정권교체를 이뤄내 우리 민주주의를 한 단계 성숙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때의 수평적 정권 교체가 노무현·문재인 정부의 탄생 등 보수 정권과 진보 정권의 ‘정권교체 프레임’을 형성했다는 점을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된다. JP의 타계는 지역구도로 대표되는 3김 정치와 냉전적 사고 방식을 지녔던 5·16 정치군인들의 퇴장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작지 않다.
때마침 남북 정상회담과 북·미 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로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이 가시화하고 있다. 6·13 지방선거에서는 보수 야당 일색이었던 부산·경남 지역 광역단체장을 여당이 모두 차지하는 등 지역구도 타파의 가능성도 엿보이는 시점이다. 지역구도보다는 정책으로 평가받고, 냉전적 사고보다는 평화와 공존을 모색하고, 막말보다는 배려를 몸소 실천하는 새로운 프레임의 정치가 진정으로 필요한 시점이다.
돌이켜 보면 JP만큼 공과가 교차하고, 영욕으로 점철된 정치인도 없었다. 1961년 박정희 전 대통령과 5·16쿠데타를 주도해 그해 중앙정보부를 만들고 부장에 오른 뒤 공화당을 창당해 6대부터 7·8·9·10·13·14·15·16대까지 9선을 하면서 산업화에 기여를 했지만, 그에게는 ‘정보정치의 효시’, ‘쿠데타의 주범’이라는 낙인이 평생 따라다녔다. 증권 파동 등 이른바 ‘4대 의혹사건’과 대일 청구권 문제가 걸린 ‘김종필·오히라 메모’ 파동 등 박정희 정권의 궂은일은 도맡아 했지만, 나눌 수 없는 권력의 속성상 JP는 항상 2인자에 머물러야 했다. 지역에 기대 정치를 해 지역 분할 구도를 심화시켰다는 비난도 JP에겐 숙명이었다. 1990년 민주공화당 총재 자격으로 보수대연합의 기치를 내걸고 민정당의 노태우 전 대통령, 통일민주당의 YS와 3당 합당을 선언했지만, 이 역시 호남을 고립시키는 지역 연합이었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았다. 이 때문인지 JP는 노년에 평생의 꿈이던 내각제에 더해 지역 구도의 타파를 염원했다고 측근들은 전하고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JP는 민주화에도 적잖은 기여를 했다. 1997년 ‘DJP(김대중·김종필) 연합’을 성사시켜 여당에서 야당으로 수평적 정권교체를 이뤄내 우리 민주주의를 한 단계 성숙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때의 수평적 정권 교체가 노무현·문재인 정부의 탄생 등 보수 정권과 진보 정권의 ‘정권교체 프레임’을 형성했다는 점을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된다. JP의 타계는 지역구도로 대표되는 3김 정치와 냉전적 사고 방식을 지녔던 5·16 정치군인들의 퇴장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작지 않다.
때마침 남북 정상회담과 북·미 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로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이 가시화하고 있다. 6·13 지방선거에서는 보수 야당 일색이었던 부산·경남 지역 광역단체장을 여당이 모두 차지하는 등 지역구도 타파의 가능성도 엿보이는 시점이다. 지역구도보다는 정책으로 평가받고, 냉전적 사고보다는 평화와 공존을 모색하고, 막말보다는 배려를 몸소 실천하는 새로운 프레임의 정치가 진정으로 필요한 시점이다.
2018-06-25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