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인우 전국부 기자
그런데 김 지사의 집념이 코드인사에서도 발휘될 줄은 꿈에도 몰랐다. 그는 자신이 천거한 A씨가 충북도립대 총장 공모 심사에서 탈락하자 총장추천위원들이 추천한 후보들을 모두 부적격 처리하고 재공모를 하게 했다. 우려한 대로 A씨는 지난 4월 실시된 재공모에 참여했고, 1순위 후보가 돼 후속 절차를 밟고 있다. 겸임교수 등으로 강단에 선 적이 있지만 A씨는 선거에 수차례 출마하는 등 정치인에 가깝다. 나이 때문에 총장 임기 4년도 못 채운다. 시민단체가 A씨를 총장 적임자로 보지 않는 이유다.
공정이 시대정신인 요즘 패자부활전까지 동원되는 인사를 보니 씁쓸함이 밀려온다. 코드인사가 충북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은 우리를 더욱 슬프게 한다. 올해도 대전, 파주, 창원 등 전국 곳곳에서 코드인사 규탄집회가 열리고 비판성명서가 등장했다. 인사권자와 연결된 숱한 외인들의 공직 진출로 오래전에 ‘어공’(어쩌다 공무원)이란 말까지 생겨났으니 코드인사는 어제오늘 일도 아니다.
인사권은 단체장의 고유 권한이고, 코드인사가 일상이 된 마당에 왈가왈부하는 것은 무의미한 일일 수도 있다. 다만 분명한 것은 무리한 코드인사는 단체장의 신뢰를 추락시키고 건강한 조직에 찬물을 끼얹는 패착일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승진을 기대하며 앞만 보고 달려온 구성원들에게는 절망감만 안겨 줄 뿐이다. 코드인사가 무조건 실패한다는 법은 없다. 하지만 논란 속에 임명된 인물이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뒀다는 반전 드라마는 아직 본 적이 없다.
지방자치가 부활한 지 30년이 지났으니 인사도 성숙돼야 한다. 조선 후기 당쟁의 폐해를 없애기 위해 인재를 고르게 등용한 탕평책까지 기대하지는 않겠다. 단체장의 대외 활동을 지원하는 자리나 가까이에서 단체장의 손발이 돼야 하는 자리 정도는 내 사람 심기를 해도 시비 걸지 않겠다.
하지만 지자체의 한 축을 담당하는 큰 조직을 책임지거나 경험과 전문성이 필요한 막중한 자리는 달라야 하지 않을까. 자기 사람 중에 그 자리에 맞는 경력과 철학을 가진 사람을 찾아보고, 없다면 과감히 코드인사를 포기하고 시야를 넓혀라. 아무나 탐내지 못하도록 주요 개방형 직위의 자격 조건을 꼼꼼하게 정비하는 것도 방법이다.
격이 다른 인사로 희망과 긍정의 메시지를 전파하는 리더가 보고 싶다. 김영삼 전 대통령이 자주 했던 ‘인사가 만사’라는 말은 수십년이 지난 지금도 유효하다.
2023-06-16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