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시대] 포스코, 태국 백화점의 ‘상생 지혜’ 헤아려야/김상현 전국부 기자

[지방시대] 포스코, 태국 백화점의 ‘상생 지혜’ 헤아려야/김상현 전국부 기자

김상현 기자
김상현 기자
입력 2023-01-27 00:31
수정 2023-01-27 12: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김상현 전국부 기자
김상현 전국부 기자
‘둘 이상이 서로 북돋우며 다 같이 잘 살아감.’

‘상생’(相生)의 사전 풀이다. ‘상생’이란 단어를 접하면 7~8년 전 태국 치앙마이에서 목격한 희안한 광경이 늘 떠오른다. 지금도 같은 풍경인지는 알 수 없지만 그 도시에서 가장 큰 백화점인 ‘센트럴 페스티벌’ 앞 광장에는 오후 5시가 되면 수백명의 사람들이 장사진을 친다. 약속이나 한 듯 같은 시간에 이 광장으로 모여든 사람들은 제각각 좌판을 깔고 물건을 진열한다. 과일과 꼬치도 있고 직접 만든 옷이며 그림, 액세서리, 공책도 눈에 띈다.

10여분도 안 돼 150여개의 좌판이 광장을 빼곡하게 메운다. 우리네 전통시장과 닮았다. 백화점에서 쇼핑하던 사람들도 우르르 몰려들면서 시장은 금세 북새통을 이룬다.

현지에서 들은 바로는 이 광장에 시장이 들어설 수 있었던 건 전적으로 백화점 측의 배려 덕분이다. ‘시민과 어울려 같이 잘 살아야 한다’는 생각이 낳은 결과물이다. 대형마트와 전통시장이 상극(相剋)인 우리와는 딴판이라 놀랐던 기억이 있다.

경험담을 늘어놓은 건 ‘포스코홀딩스 본사 포항 이전’ 때문이다. 시민의 눈과 귀가 ‘2023년 3월까지 주주 등을 설득해 포항으로 본사를 이전한다’는 포스코의 약속 이행 여부에 집중된다. 포스코와 포항이 ‘같이 잘 살기’ 위한 약속이라서 그렇다.

우선 2월 16일 포스코그룹 이사회가 열린다. 여기서 ‘본사 이전’ 안의 주주총회 상정 여부가 가려진다. 상정이 결정되면 한 달 뒤 주주총회에서 본사 이전 여부가 최종 결정된다.

‘이윤 추구’가 목적인 기업 특성만 따지면 ‘포스코홀딩스’ 본사를 서울에 두는 것이 효율성 면에선 부합할지 모르겠다. 하지만 ‘포항’과 ‘포스코’는 54년 지기에, 떼고 싶어도 뗄 수 없는 ‘연리목’이 된 지 오래다.

지금은 없던 일이 됐지만 2015년 정부의 반대에도 포항시민은 환경오염을 무릅쓰고 포항제철소 석탄발전소 건립을 지지하며 32만명이나 서명했다. 2006년 1주식 갖기 운동을 펼치며 외국자본의 적대적 인수합병 위협에 대항한 것도 포항시민이었다. 이 외에도 비슷한 사례는 많지만 어쨌든 ‘포스코’에는 포항의 땀과 피눈물이 서려 있다.

그런데 최근 포항을 대하는 포스코의 기조를 보면 포항과 ‘상극’이 되려고 마음먹은 것 같다. 당장 포스코 안팎에선 “포항에 투자를 끊었다”는 자조 섞인 한숨이 나온다. ‘노후화’ 명분을 대긴 했지만 태풍 ‘힌남노’ 당시 침수된 1후판공장을 살리지 않은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읽힌다. 철강 ‘수명’이 다했으니 서서히 ‘포항 땅’을 정리하고 나가려는 심보로 보면 논리적 비약일까.

그게 아니라면 지금은 포스코가 태국 백화점이 짜낸 ‘상생의 지혜’를 헤아릴 때다. 약간의 손해를 감내하고 포항시민의 ‘응원’을 등에 업으라는 얘기다. 포항시민은 조만간 최정우 회장 명함 주소에 ‘서울’이 아닌 ‘포항’이 새겨지길 바란다. 그래야 포스코와 포항이 같이 잘 살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2023-01-27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